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명
수치
치욕
망신
면목 없음
모욕
부끄러움
d라이브러리
"
불명예
"(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
과학동아
l
201504
뜻이다. 그런 한국이 요즘은 ‘고래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고래 불법 포획 1위라는
불명예
스러운 이력에, 혼획되거나 좌초돼 폐사한 고래도 매년 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가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연안에서 그물에 걸려 잡힌 고래는 1849마리나 됐다. ‘우연히’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4
좌석에 엉덩이를 붙이고 바른 자세로 앉아야 한다.여름&방과 후&비 오는 날, 차 조심!
불명예
스럽게도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 어린이가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당하는 시기는 여름인 ‘6~8월’, 학교가 끝난 시간인 ‘오후 4~8시’다. 전문가들은 길을 건너는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06
70년대에도 매달 3~4개의 틀린 증명이 접수되었다. ‘틀린’ 증명이 가장 많이 발표됐다는
불명예
를 깨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 "8년 동안 페르마의 정리와 가족의 일 외에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다. 페르마의 정리를 정복하는 것은 나 자신을 정복하는 것과 같았다." _ 앤드루 와일즈열 살 ... ...
Intro. 위기의 수학발명품, 수세식 변기
수학동아
l
201110
안겨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 칭송받던 수세식 변기가 최근 인류 최악의 발명품이라는
불명예
를 안았다. 물낭비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수세식 변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는 소문이 있다. 소문의 진상과 위기의 수세식 변기를 구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6
비용이 들더라도 안전성 조사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해 회사의
불명예
를 씻어 보이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권위 있는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에 의뢰했다”며 “실험 진행 전 과정은 학회에 전적으로 일임하고 신뢰와 객관성을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11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봤다. 배아줄기세포 관련 논문조작으로
불명예
를 안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조국이 있다’는 파스퇴르의 말을 인용했다. 지금은 포퓰리즘적인 발언으로 치부돼 꺼내는 것조차 금기시되고 있지만, 누구나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07
이미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돼 있었다.이번에 멧비둘기에 이어 유해 야생동물의
불명예
를 안은 종은 집비둘기. 국내에서는 최근까지도 집비둘기가 가축으로 분류돼 있었다. 원래 야생에서 살던 비둘기를 사람이 사육하면서 개량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귀소본능이 강하고 고기 맛이 좋은 비둘기를 ... ...
동시 발견과 우선권
과학동아
l
200810
있다. 우선권을 획득하는데 실패해 짧게는 몇 년, 길게는 평생을 바친 성과가 도용자라는
불명예
를 안겨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사태가 심화되면 과학자로서의 삶이 막을 내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보상이 있든 없든 가장 기본적인 과학자의 책무를 지켜가면서 살기 위해서는 ... ...
South Korea rejects disgraced clone license
과학동아
l
200809
not forget that research eth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cience. 지난 8월 대한민국 정부는
불명예
를 안은 과학자 황우석 박사가 인간배아 복제 줄기세포 연구를 재개하지 못하도록 했다. 황우석 박사는 연구윤리 관련 법률을 어기고 국가 지원금과 사적인 기부금 280만 달러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
쥐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현상으로 밝혀졌기 때문이야. 결국 잘못된 노벨상이라는
불명예
스런 이야기를 듣게 됐지. 불행인지 다행인지 피비거는 이미 늙어 죽어서 이런 이야기를 듣지 않아도 됐단다.기생충이 아니라 공생충?“에일리언처럼 무섭게 생긴 것이 내 몸 속에서 내 밥을 뺏어 먹고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