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명
수치
치욕
망신
면목 없음
모욕
부끄러움
d라이브러리
"
불명예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전기가 집으로 오기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1999년부터 기후 협상의 진전을 막는 나라 세 곳을 선정해 수상하고 있지요. 우리나라가
불명예
를 안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 기업이 호주의 LNG 개발 사업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한 탓이에요. LNG는 석탄 다음으로 탄소 배출량이 많은 화석연료입니다. 이산화탄소보다 온실 효과가 무려 84나 높은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3개의 국가씩 뽑아 수여하는 상입니다. 이 상을 받은 나라들은 국제적인 기후 악당이라는
불명예
스러운 이미지를 떠안게 되죠. 한국은 호주의 가스전 개발에 자금을 지원하며 가스 추출을 촉진하고 바다를 오염시키는 데 기여한 노력(?) 등을 인정받아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습니다. 현장에서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영화상’을 비롯해 6관왕에 오른 것이다. 뮤지컬로 대성공을 거둔 작품이 영화계에서
불명예
를 안은 이유로 국내외 언론은 ‘불쾌한 골짜기’를 꼽았다.불쾌한 골짜기는 인간형 로봇의 모습이 인간과 더 가까워지다 보면 어느 순간 인간에게 혐오감과 공포감을 주는 단계가 찾아온다는 이론이다. ...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뜻이다. 그런 한국이 요즘은 ‘고래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고래 불법 포획 1위라는
불명예
스러운 이력에, 혼획되거나 좌초돼 폐사한 고래도 매년 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가 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연안에서 그물에 걸려 잡힌 고래는 1849마리나 됐다. ‘우연히’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좌석에 엉덩이를 붙이고 바른 자세로 앉아야 한다.여름&방과 후&비 오는 날, 차 조심!
불명예
스럽게도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 어린이가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당하는 시기는 여름인 ‘6~8월’, 학교가 끝난 시간인 ‘오후 4~8시’다. 전문가들은 길을 건너는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70년대에도 매달 3~4개의 틀린 증명이 접수되었다. ‘틀린’ 증명이 가장 많이 발표됐다는
불명예
를 깨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 "8년 동안 페르마의 정리와 가족의 일 외에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다. 페르마의 정리를 정복하는 것은 나 자신을 정복하는 것과 같았다." _ 앤드루 와일즈열 살 ... ...
Intro. 위기의 수학발명품, 수세식 변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안겨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 칭송받던 수세식 변기가 최근 인류 최악의 발명품이라는
불명예
를 안았다. 물낭비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수세식 변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는 소문이 있다. 소문의 진상과 위기의 수세식 변기를 구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비용이 들더라도 안전성 조사에 참여하기로 했다”며 “제품의 안전성을 입증해 회사의
불명예
를 씻어 보이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권위 있는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에 의뢰했다”며 “실험 진행 전 과정은 학회에 전적으로 일임하고 신뢰와 객관성을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봤다. 배아줄기세포 관련 논문조작으로
불명예
를 안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조국이 있다’는 파스퇴르의 말을 인용했다. 지금은 포퓰리즘적인 발언으로 치부돼 꺼내는 것조차 금기시되고 있지만, 누구나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미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돼 있었다.이번에 멧비둘기에 이어 유해 야생동물의
불명예
를 안은 종은 집비둘기. 국내에서는 최근까지도 집비둘기가 가축으로 분류돼 있었다. 원래 야생에서 살던 비둘기를 사람이 사육하면서 개량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귀소본능이 강하고 고기 맛이 좋은 비둘기를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