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
졸음
물위
휴식
선잠
수상
상류
d라이브러리
"
수면
"(으)로 총 85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6
연구원은 이 오리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시작했어요. 고무로 만들어진 러버덕은
수면
위를 떠다니기 때문에 바닷물의 표면을 흐르는 표층해류를 따라 움직이기 쉽거든요. 러버덕을 추적해 전세계 바다의 해류 지도를 작성할 계획을 세운 거예요. 러버덕을 추적한 지 15년이 지난 2007년,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내비에이터는 단 2초 만에 물에서 공기로, 또는 공기에서 물로 이동할 수 있답니다.
수면
에서 아예 프로펠러를 멈추고 부력을 조절하는 것보다 더 빨리 물과 공기 사이를 오갈 수 있도록 만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늘어나면 적조라고 부른답니다.이렇게 늘어난 식물성 플랑크톤이 죽으면 위로 떠올라서
수면
을 가득 채워요. 이 사체에 막혀서 공기 중의 산소가 물속으로 녹아 들어가지 못해요. 게다가 사체가 썩는 과정에서 산소를 계속 소비하게 되지요. 그래서 물속의 산소량이 점점 줄어든답니다. 남극에 사는 ... ...
[과학뉴스] 푹 자야 운동도 잘 한다?
과학동아
l
201709
운동에 필요한 신경 연결이 더욱 강화되고, 필요 없는 연결은 제거됐다”며 “충분한
수면
은 운동 학습 속도를 높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7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n.460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동아
l
201709
배치하는 식이다. 무게의 중심을 잡는 데 사용되는 액체 탱크 위치도 중요하다. 잠수함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가 다시 아래로 내려가는 등 동선을 결정하는 데는 액체 탱크의 배치가 결정적이다. 노 교수는 “상대적으로 작은 잠수함도 방이 100개 이상 들어간다”며 “설계자의 노하우에만 의존해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09
유전적으로 어떻게 조절되는지 연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수면
과 같은 생체시계다. “RNA가 생체시계에 영향” 최초로 밝혀과학자들은 생체시계의 정체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밝혀내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진행해 왔다. 세포는 DNA 염기서열로 이뤄진 각 유전자의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
과학동아
l
201708
내려가는데, 체온이 떨어지면 뇌 활동도 떨어집니다. 뇌 활동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수면
중에 떨어진 체온을 올려야 하죠. 아침을 먹어야 체온을 올릴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또 아침을 먹지 않으면 오전 내내 호르몬 중추인 뇌하수체 바로 위에 있는 시상하부 속의 식욕 중추가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
과학동아
l
201707
당신의 스마트폰이 의사가 된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장치와 센서를 활용하면 따로 측정기를 달지 않아도 간편하게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숨은 과학적 원리를 소개한다.[카메라]찰칵! 찍어 유전 질환 찾는다스마트폰 카메 ... ...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07
”아기가 눈을 감자, 치클의 목소리는 점점 더 기쁨이 많아졌다.“토착 생명체가 드디어
수면
상태로 진입하는 듯 합니다. 황제 폐하.”“마지막 순간까지 방심하지 말라. 이때 잠깐 방심해서 다시 토착 생명체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우리는 다시 처음부터 안정화 작업을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 ... ...
[과학뉴스] 큰 눈 덕분에 바다에서 육지로 진화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
있었지요.물속에서는 시력이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큰 눈은 쓸모가 없어요. 하지만
수면
위에서 바깥을 볼 때는 큰 눈이 필요해요. 볼 수 있는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지거든요.연구팀은 동물 눈이 커질 때의 장점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했어요. 그 결과 눈이 3배 커지면 동물의 시력이 100만 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