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복
높낮이
고저
d라이브러리
"
요철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
과학동아
l
201709
정(井)’자 모양의 석재가 놓여 있다. 원래 이 정자 모양 돌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요철
(凹凸)처럼 다듬어 결합돼 있었다. 그런데 1000년 이상이 흐르면서 한 쪽 귀퉁이가 떨어져 나갔다. 전체적인 모양도 세월을 빗겨가지 못했다. 북쪽으로 약 1도 가량 기울어져 있었는데, 지난해 지진이 일어난 뒤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9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맞출 수 있답니다.[가로에
요철
이 4개, 세로에
요철
이 2개인 블록 2개를 조립할 수 있는 방법은 16개예요. 2×4블록의 모양, 색깔이 다양해질수록 더욱 많은 모양을 만들 수 있지요. 블록이 6개가 되면 무려 9억 1510만 3765가지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답니다.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
201602
어떤 단위의 자로 재느냐에 따라 결과가 얼마든지 달라져. 리아스식 해안선처럼
요철
이 심한 해안선은 굴곡이 심할 경우 긴 자로는 길이를 세밀하게 잴 수 없어. 그래서 듬성듬성하게 잴 수밖에 없고, 측정된 값도 정확하지 않지. 하지만 길이가 짧은 자로 잰다면 올록볼록한 부분을 정밀하게 측정해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4
분자와 결합했던 분자들이 원래 있던 자리로부터 떨어져 나가지요.다시 말해 표면의
요철
이 적고 분자가 자유롭게 움직일수록 마찰력이 낮아져요. 특히 서로 결합하는 힘이 약한 기체나 액체 층안에서는 마찰력이 한없이 낮아진답니다. 물이 있는 바닥이 그렇지 않은 바닥보다 미끄러운 이유예요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실제로 이룰 수도 있게 해 준단다.인터뷰만화가 홍승우내 꿈을 키운 만화전 어렸을 때
요철
발명왕을 무척 재미있게 봤어요. 이 만화의 주인공은 벽의 벽돌을 빼면 나오는 비밀 아지트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이 무척 부러웠답니다. 나도 만화 속의 주인공이 되고 싶었죠. 만화를 보면서 나의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
과학동아
l
201308
등은 미국 7개 대학 연구팀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➌ DRC휴보의 발. 미끄러지지 않는
요철
구조로 돼 있다. 두발로봇은 한 발로 중심을 잡기 때문에 발바닥의 형태도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휴보는 두 발에서 네 발로 ‘변신’두발로봇 휴보도 최근 네발 보행 기능을 추가했다. 팔을 등 뒤로 ... ...
만화로 배우는 유쾌한 생물학! 신인철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0
집 지하실에 비밀연구소를 만들어 황당한 발명품을 만드는 이야기였죠. 만화 속에서는
요철
이가 타임머신을 타기도 하고 도깨비나 공룡과 만나기도 해요. 만화라서 가능한 이야기지요. 또 동네를 누비며 온갖 장난을 치는 ‘꺼벙이’도 즐겨 읽었어요. 요즘에도 만화를 보면 창의력과 상상력이 쑥쑥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04
만드는 데도 성공해 학술지 ‘네이처 화학’에 발표했다. 이들은 마치 조각퍼즐처럼
요철
이 있는 DNA 오리가미를 만들어 서로 섞어주면 자기들이 알아서 퍼즐을 맞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나노 짐 운반하는 나노 로봇2009년 덴마크와 독일의 연구자들은 DNA오리가미를 이용해 3차원 구조물을 만드는 데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요철
이 있는 재질로 감쌌다. 그리고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
이 있는 재질일 때 감도가 최대 100배까지 민감해짐을 확인했다.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3
재능을 보인 그는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나노패터닝 실험을 해보기로 했다. 미세한
요철
이 있는 표면의 튀어나온 곳에만 고분자를 묻혀야 하는데 움푹 들어간 곳까지 고분자가 채워져 골치였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그는 이게 모세관힘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고 결국 이를 역 이용해 고분자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