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분"(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피우는 데에도 성공했답니다. 농촌진흥청 이정윤 연구사는 식물이 줄기나 뿌리 같은 일부분만으로도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꽃을 피울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식물은 뿌리와 줄기 끝 부분, 곁줄기가 나오는 부분에 생장점이 있어요. 생장점에서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져 계속해서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이것을 설명하진 못하죠.그래서 나온 이론이 ‘자체 조직 이론’이에요. 바다 바닥의 일부분이 우연히 깎여서 낮아지면 그곳은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져요. 빨라진 물은 그곳을 더욱더 빠르게 깎아내고, 그 지역은 더 낮아지죠. 반대로 주변의 깎이지 않은 높은 지역은 물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09
-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우주의 크기를 가늠해 보고, 일부분이라도 어떤 모양인지 관측해보는 정도뿐이다. 일단 과학자들은 우주 공간이 무한하다고 가정하고 있다. 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체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우주가 무한하다는 증거는 없지만,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가장 오래 지속되는 시간이다.태양빛이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일식이 태양빛의 일부분만 가려지는 부분일식이나 금환일식에 비해 특별한 이유는 하늘의 밝기가 현저하게 차이나기 때문이다. 낮 시간 동안의 하늘은 산란된 태양빛으로 인해 파랗게 빛나고 그 밝기는 태양표면 밝기의 100만분의 1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07
- 그러나 집단이 백신을 맞아 면역력을 가지고 있으면 감염병의 유행은 차단되거나 일부분만 감염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오른쪽 그림). 천연두가 바로 집단면역으로 사라진 대표적인 감염병이다. 모든 사람이 백신으로 천연두에 면역력을 가지게 됐기 때문이 아니라 집단면역으로 인해 천연두가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05
- 관찰해 보자. 찾고 있는 우주먼지 입자는 대부분 구형이다. 완벽한 구형이거나 일부분이 솟아있는 구형일 수도 있다. 또 검거나 짙은 회색에 광택이 나는 입자를 찾아야 한다. 끝부분에 입자와는 다른 결정이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라르센이 찾아낸 우주먼지들(왼쪽 사진)의 모양을 참고하면 더 쉬울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01
- 값이 틀렸다면) 표준우주모형이 실제 우주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뜻”이라며 “모형의 일부분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만약 두 허블 상수가 모두 맞다면, 우주모형을 훨씬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애덤 리스 교수팀은 최근 계산한 허블 상수와 플랑크 위성의 허블 상수가 다른 이유에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있지. 그런데 최근 내가 좋아하던 과학자 한 분이 대단한 걸 만들었어! 줄기세포로 뇌의 일부분을 만들어 낸 거야. 이번엔 특별히 이 인공 뇌를 연구실로 데려왔단다. 지금부터 함께 뇌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일리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인공 뇌 : 저는 신체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흔들리지 않는다.’조선시대 세종대왕 때 집현전 학자들이 쓴 ‘용비어천가’의 내용 중 일부분이에요. 뿌리가 깊을수록 나무가 튼튼하다는 말로, 식물을 지탱하는 뿌리의 ‘지지작용’을 설명하기도 하지요.뿌리는 꽃과 잎, 줄기와 달리 땅속에서 식물이 살아가는 데 중요한 3가지 역할을 해요. 그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11
- 간단하게 보이는 그림은 사실 꽤 많은 정보를 담은 지도입니다.지구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지도라고 합니다. 무척 넓은 땅덩어리를 종이 한 장에 옮기려면 땅을 소인국처럼 작게 줄여야 합니다. 이 때, 실물을 어떤 비율로 줄였는지 나타내는 정도를 ‘축척’이라고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