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광선"(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2017년 8월 21일(현지 시간), 오전 10시 17분부터 오후 2시 35분까지 미국 대륙을 횡단하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일식은 신비로운 현상일 뿐 더 이상 연구할 것은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개기일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07
- 때문에 태양광선이 구름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낮 시간대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오직 태양광선이 구름과 평행을 이룰 때에만 우리 눈에 보이죠. 이 때 지구의 표면은 어둠 속에 있고, 우리는 진주구름의 독특하고 다채로운 색상을 볼 수 있습니다.“피와 칼처럼 불타는 구름, 나는 두려움을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채 9시가 되지 않은 밤이었다. 신도시의 주공 아파트 단지로 우주선 한 대가 진입했다. 인류의 역사에서는 처음 있었던 일이지만 우주선의 크기가 만두 가게에서 쓰는 쟁반 크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게 우주선인지 알아 채고 놀라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아파트 8동의 경비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06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02
- “연구 내용을 서로 교류할 기회가 DGIST에는 많아요. 일 년에 한 번 하는 융복합연구 페스티벌이나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소규모 세미나도 있고요. 페스티벌에서 제가 생각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조창희 교수님이) 제안해주신 게 융합연구의 시발점이 됐어요.”백성호 DGIST 스마트 ... ...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8
- 물속에 있는 세균을 죽여 깨끗한 물을 만드는 방법엔 뭐가 있을까요? 지금까진 물을 끓이거나 태양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답니다. 하지만 물을 끓이기 위해선 연료가 필요하고, 태양 자외선은 세기가 약해 세균을 모두 죽이는 데 48시간이나 걸린다는 단점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08
-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은 파장이 380~780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인 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색깔이 들어 있다. 우리 눈이 구분할 수 있는 색깔만 1만~100만 개나 된다. 이렇게 수많은 색깔 중에서 파랑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B파랑(B)은 빨강(R)과 초록(G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07
- 지난 호에는 독일이 낳은 대문호 ‘괴테’의 이름을 딴 침철석(괴타이트)을 소개했다. ‘쿠트나호라이트’라는 광물의 결정 모양을 그대로 지닌 특이한 가상(가짜 모양, Pseudomorph) 광물이었다. 침철석은 괴테의 작품세계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기에, 색다른 침철석을 하나 더 소개한다.색은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패드와 베스토 슬라이퍼는 특이한 나선은하를 발견했다. 지구에서 약 4700만 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 은하(NGC 1068)였는데, 다른 은하에서는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06
-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됐고, 적외선으로 온도가 낮은 별, 자외선으로 온도가 높은 별을 보게 됐다. X선과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천체를 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