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검사자"(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리고 피검사자의 침에서 추출한 DNA를 증폭해 DNA 칩 위로 흘려보냅니다. 만약 피검사자의 DNA에 돌연변이가 있다면 칩 위의 DNA와 결합할 겁니다. DNA칩은 DNA가 결합하면 형광을 내도록 만들어져 있어, 유전자 변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NA칩에는 이러한 검출용 DNA가 종류별로 가득히 붙어있습니다.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검사해준다. DNA칩 위에 원하는 특정 DNA의 돌연변이를 감지할 수 있는 염기서열을 부착해 검사자의 DNA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스마트폰 앱으로 신청 후 검사 키트에 타액을 담아 보내면, 열흘 정도 지나 앱을 통해 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사람들이 유전체 분석 기술을 친숙하고 가깝게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매우 뚜렷하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당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주는 검사MBTI는 피검사자의 성격을 16개 유형으로 구분한다. MBTI는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던 시기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는 스위스의 ... ...
- '모두를 위한 면제' 정신질환과학동아 l2006년 05호
- 병원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외견만으로 군의관이 알아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신체 검사자는 반드시 인성검사를 받는다. 만약 1차 검사에서 이상으로 판정되면 추가로 정밀검사를 실시한 뒤 군생활 여부를 결정한다.2001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군 면제 판정을 받은 대표적인 정신질환은 ...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큰 우리의 실정에 맞춰야 하므로 우리나라의 검사결과에 근거해서 검사자의 성향을 판단하는 기준 수치를 수정해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적성검사로 자신의 흥미와 성향을 알았다면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신종호 교수는 대표적인 것으로 ...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방법이다. 이런 식으로 8번을 반복하면 8개 색의 순서가 정해진다. 8개 색의 순서는 피검사자의 정신적 피로도를 알려주는 지표다. 붉은 색은 정복, 열정, 남성성, 잔인성, 식욕, 욕망 등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테스트에서 붉은 색을 회피하는 것은 사회, 경제적 자신감의 상실이나 성욕의 ...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과학동아 l2004년 11호
- 한계는 있다. 권준수 교수는 “검사 당시 생리 중이거나 주위 온도가 평균치를 밑돌 때, 검사자의 두개골 두께에 따라 얼마든지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현택 교수도 “사건과 상관없는 화려한 사진이나 자극에 반응해 p300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한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존재를 알아내는데 강력한 새로운 WMD(Weapons of Mass Destruction) 프로그램이 검사자를 뒷받침한다.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휴면아의 형성에 관여하고 낙엽지는 것을 촉진한다 약칭은 ABA글루코스 등 당류로부터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 락트산균 또는 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 발효로 ... ...
- 예비 과학자들의 진로탐색 여행과학동아 l2002년 09호
-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적성과 능력이 병행돼야MBTI 및 진로탐색 검사가 검사자에 의한 지필 보고의 형식을 지니는데 반해, 활동 프로그램은 제3자에 의한 관찰평가 형식으로 이뤄졌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을 총괄한 정병훈 교수는 개인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참가 학생들을 ...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이룬다고 가정했을 때 전체 평균점수를 1백으로 환산해 정규분포를 만든다. 그러므로 피검사자 중 50%는 IQ가 1백 이하가 되는 것이다. 세상사람들의 반은 저능하다는 말인가.94년 머레이와 헤른슈타인의 공저 '종형곡선'이 세상을 시끄럽게 했다. '종형곡선'은 인간의 지능이 IQ로 평가될 수 있으며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