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사면"(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봇 뱀, 토성의 위성에서 꿈틀꿈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EELS을 움직여 봤어요. EELS는 엔셀라두스처럼 얼음과 눈이 쌓여 있고 약 35°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올라가야 했지요. 실험 결과 EELS는 고장 나지 않고 거친 표면을 통과해 곡선을 그리며 움직였어요. 연구팀은 “엔셀라두스를 보다 원활하게 탐사하기 위해 EELS가 얼음 아래에 있는 지하 바다로도 ... ...
- [JOB터뷰] 부릉부릉! 차를 만든다, 오은석 엔지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흡수해 차가 부서지지 않아요. 이를 자동차에선 범퍼라고 합니다. 만약 이 자동차를 경사면에서 굴렸을 때 한쪽 바퀴만 떠 있다면 바퀴 축에 스프링을 달아 보세요.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떠 있던 바퀴가 바닥에 닿을 거예요. 실제 차에도 스프링이 있답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자동차를 만들려고 하지 ... ...
-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염분은 바다로 섞이면서 주변에 고염분 바닷물이 만들어져요. 고염분 바닷물은 해저 속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주변 바닷물과 섞입니다. 이렇게 섞인 바닷물을 남극저층수라고 해요. 남극저층수는 대기 중의 탄소를 심해에 가둬 기후변화를 늦추는 역할도 합니다. 남극저층수는 수심 4000m ... ...
-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불린답니다. 이외에도 심해에는 여러 종류의 광물이 있어요. 해저면에서 우뚝 솟은 산의 경사면에서는 코발트 함량이 높은 ‘망간각’이 발견되지요. 또, 지하의 마그마로 인해 뜨거워진 물이 솟아나오는 열수분출공 근처에는 ‘열수 광상’이 있습니다. 뜨거운 물에 포함된 금속 이온이 차가운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썼다는 물시계가 문제였다. 갈릴레이는 커다란 물통에 가는 파이프를 끼워 놓고 경사면에서 공이 운동할 동안 거기서 나오는 물줄기를 컵에 받아 그 무게를 측정했다. 컵에 담긴 물의 무게가 2배면 시간도 2배 흐른 것이고 무게가 3배면 시간도 3배 지난 게 된다. 쿠아레는 이런 물시계로는 갈릴레이가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가장 빠른 미끄럼틀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부분(미끄럼틀이 물에 닿는 부분)까지를 직선으로 연결해요. 이때, 미끄럼틀을 쭉 편 경사면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를로 설계하는 것이 워터파크 미끄럼틀의 비밀이에요. 각도가 9보다 작으면 경사가 너무 완만해서 재미가 덜하고, 12보다 크면 사고가 날 가능성이 커져서 위험하다고 해요. 대부분의 ... ...
- [지구사랑탐사대] 도랑에 빠진 개구리를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서식하는 것을 발견하고, 자주 이곳에 와서 금개구리를 관찰했습니다. 자연 도랑은 경사면이 완만해서 개구리가 논과 수로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콘크리트 도랑으로 바뀐 후엔 개구리가 더이상 관찰되지 않았죠. Q연구가 쉽지 않았을 것 같아요.맞아요. 특히 수로 실험을 위한 참개구리 채집이 ... ...
- [특집] 1교시 서핑, 파도와 하나가 되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파도의 경사면을 타는 스포츠야. 서퍼라면 적절한 타이밍을 예측해 부서지기 전의 파도를 타야 해! 먼 수평선에서부터 일렁이던 물결이 언제 하얀 거품을 내며 깨질지 모르겠다고? 파도를 이해해야 탄다!포르투갈 레이리아주 나자레라는 작은 어촌에선 매해 겨울, 세계에서 가장 큰 파도를 타기 ... ...
- [드론으로 본 제주] 자연이 빚어낸 절경 ③ 동부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경사면을 따라 지층이 무너져내리면서 큰 화산 자갈들이 떨어져 생긴 탄낭 구조가 있다. 경사면에 엉겨 굳어 있던 화산재들이 미끄러져 겹쳐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기왓장을 포개놓은 듯한 수평의 층리도 생겨났다. 반면 하부는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한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연속적이고 평행한 ... ...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선보이려면, 여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스케이트 보더의 움직임처럼 경사면을 오르내리는 물체의 운동은 운동역학에서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설명합니다. 이 법칙은 마찰이나 공기저항이 없을 때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스케이트 보더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