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하 1.5km 아래에도 다채로운 미생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팀은 “지하 깊은 곳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다채로운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종도 발견됐어요. 오스번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미생물들이 “기존 탐사나 실험에서는 연구할 수 없었던 미생물”이라며 “이 생명체 중 ... ...
- 25그릇만큼의 물양을 어떻게 잰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주, 아주 커다란 냄비에 라면을 아주, 아주 많이 끓여서 모든 동물에게 맛보여주는 거야!’ 보구리는 중얼거렸어요.“하지만 라면을 맛있게 끓이려면 물의 양을 정 ... 물이 550mL만큼 필요하고, 그걸 25그릇 끓이는 거지요?”보구리는 고개를 끄덕였어요.“그럼 550×25를 계산하면 돼요 ... ...
- 곱셈의 또다른 방법, 가로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준비한 특별한 면을 넣을 순간이에요. 25그릇에 들어갈 아주 많은 면발을 보자니, 계라니는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997이나 999처럼 큰 수를 더 쉽게 곱할 방법은 없을까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할머니의 60번째 생신은 왜 '환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사람들은 하늘에 10개의 태양이 있다고 믿고, 각각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이를 10간(십간)이라고 부르지요. 또, 땅을 지키는 12개의 동물도 있다고 믿었어요. 그것이 바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예요. 이를 12지(십이지)라고 해요. 각 ... ...
- 아이작 뉴턴경, 당신의 생일 파티에 오신 걸 환영하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 카페 방 문객들이 긴 호흡으로 머물렀다 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행사 준비 과정과 계획을 얘기하는 헤오바의 목소리엔 즐거움이 가득했다. 앞서 말한 협력 글에는 뉴턴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담길 예정이다. 그동안 숨어있던(?) 뉴턴 덕후들이 ‘영화로 보는 근현대 물리학과 뉴턴 역학’ ... ...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기자는 기사를 만들지만, 메이커라고 불리진 않는다. 소설가 역시 이야기를 만들지만, 메이커라고 칭하지 않는다. 최근 핫한 TV 프로그 ...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언가를 만들고, 그러면서도 계속해서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사람들의 축제가 곧 시작된다 ... ...
- [포토뉴스] 집안일은 내가 최고! 한국팀 ‘로보컵 2023’ 2개 부문 우승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팀을 이끈 이승준 교수는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한국의 인공지능 로봇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을 입증하게 돼 매우 기쁘다. 앞으로는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대회가 열려 국내 팀들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희망한다”는 소감을 전했다 ...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있었던 것이다. 연구자들은 황색망사점균이 뻗어나간 순서에서 영감을 얻어 네트워크를 계획하는 수학 모델을 만들기도 했다. 점균이 던지는 질문, 지능이란 무엇일까 이런 엉뚱하고 획기적인 결과에 가만있을 이그노벨상 위원회가 아니다. 나카가키 교수가 참여한 두 연구는 각각 2008년과 2010년 ... ...
-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1. 라푼젤은 목이 튼튼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달라고 말했고,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데려가버렸지요. 마녀는 아이를 출입구도, 계단도, 사다리도 없는 높은 탑에 가두어 키웠어요. 아이는 머리카락을 단 한 번도 자르지 않은 채 점점 커가는데…. 이 이야기는 독일의 전래동화 ‘라푼젤’의 줄거리예요. 1600~1700년대에 생겨난 이야기로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이 상은 목성과 토성의 주변을 맴돌지요. 수성과 금성 주변을 도는 위성은 없어요. 태양 계에서 가장 큰 위성은 목성 주위를 도는 ‘가니메데’예요. 가니메데의 반지름은 무려 2643km로, 달(1738km)이나 수성(2439km)의 반지름보다도 크답니다. 가니메데는 1609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