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골칫덩이"(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1878년 5월 14일 상처 치유부터 보습까지! 바세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로드 왁스’라고 불리는 석유 찌꺼기는 굴착기 등에 달라붙어 기계를 고장나게 만드는 골칫덩이로 여겨지고 있었습니다. 체스브로는 로드 왁스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연구를 시작했어요. 5년 간의 연구 끝에 로드 왁스로부터 훨씬 가벼운 젤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지요. 이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탄소는 오늘날 지구에서 가장 ‘핫한’ 원자다. 탄소가 포함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만드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이기 때문이다. 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제거 혹은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남대현 대구경북 ... ...
- [지구사랑탐사대] 결코 하찮은 녀석이 아니다! 우리 생태계의 소중한 친구 피라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피라미 조사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 실제로 1800년대 후반만해도 개체 수가 너무 많아 골칫덩이였던 북미 대륙의 로키산메뚜기가 보호 대책의 부재로 수십여 년만에 멸종했던 사례를 예로 들었지요. Q&A 궁금해요!피라미에 R타입과 B타입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 Q이번 조사의 특별한 목적이 ... ...
- [힉스 10년] 우리는 무엇을 아는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부여하는 멋진 입자로 포장됐지만, 과학자들에게는 50년간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골칫덩이였기 때문이다. 그런 힉스의 존재를 눈으로 관측하고 10년, 우리는 힉스를 얼마나 알게 됐을까. 힉스의 정체를 파악하려는 지난 10년의 노력과, 앞으로 10년 힉스가 풀어주길 바라는 물리학 난제들을 짚어봤다 ... ...
-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꿀벌을 구하라!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위협하는 가장 큰 이유 바로아응애! 유럽에서도 바로아응애는 양봉을 방해하는 심각한 골칫덩이에요. 그런데 바로아응애는 너무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아요. 바로아응애를 발견하려면 꾸준히 벌통을 열어 보고 벌 하나하나를 관찰해야 하는데, 시간도 너무 오래걸립니다. 2017년 스웨덴 양봉업자 ... ...
- [가상 인터뷰] 야생 당나귀와 말, 외래침입종에서 구세주로 신분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작지만, 몸이 튼튼하고 지구력이 강해서 척박한 환경에도 잘 적응한다고! 북미에선 골칫덩이라는 소문이 있던데?말과 당나귀는 약 500년 전,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왔어. 하지만 19세기 자동차의 발달로 가치가 떨어지자 야생에 버려졌지. 흑…. 이때 우리가 구덩이를 파는 버릇 탓에 나무 등 ...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쌓여가고 있음을 뉴락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 처음부터 환경의 골칫덩이는 아니었다. 올바르게 이용한다면 그 어떤 물질보다 유용하고, 친환경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장 작가는 “플라스틱은 코끼리 상아를 대체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며 “처음에는 자연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움직이게 된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골칫덩이 녹조류, 신재생에너지가 되다! 골칫덩이로만 여겨지던 녹조류가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어요. 최근 연세대학교 류원형 교수 연구팀은 녹조류가 광합성을 할 때 만들어지는 전자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세포필름과 나노전극을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전국 각지에서 발견되지요. 원래는 중국 남부 등 열대지역에만 살았지만, 최근 전세계의 골칫덩이가 되었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프랑스, 포르투갈까지 퍼져서 꿀벌을 포함한 화분매개자들을 잡아먹으며 식물의 수분을 방해하기 때문이지요. 처음 등검은말벌이 우리나라에서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최대한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물질이기도 하지요.그런데 성균관대학교 남재도 교수팀이 골칫덩이 리그닌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리그닌을 특정한 화학물질과 반응시켰어요. 그러자 원래 따로 따로 떨어져 있던 리그닌 분자들이 사슬처럼 이어졌지요.이렇게 리그닌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