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군체"(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식물로 종종 오해받지만, 사실은 바다에 사는 해양동물이에요. 폴립이라는 작은 동물이 군체를 이룬 생물로, 산호의 폴립에는 먹이를 잡는 촉수와 위장이 있어요. 산호는 촉수를 뻗어 바닷속에 떠다니는 유기물이나 새우 같은 작은 생물을 사냥한 뒤, 위장에 넣어 소화시켜요. 일부 종들은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쌀알처럼 생긴 고치를 물고 이사 중인 광경을 발견했다”고 했습니다. 흑색패인왕개미 군체의 새집은 바로 나무로 된 아파트 붙박이장이었죠. 숲곰개미 님은 “이미 이사를 끝낸 개미를 다시 빼내기가 힘들어 원치 않는 동거를 3년 가까이 했다”며 “예상치 못한 상황이 이루어지기도 하니 인간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현재 우주에는 약 6000여 개의 인공위성이 있어요. 앞으로 발사될 여러 소형 위성 군체들도 있고요. 이 인공위성들이 수명이 다한 뒤에는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여러분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기다리고 있을게요~ ... ...
- [한장의 과학] 바닷속에 아파트가 있다?! 산호의 러브하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2015년부터 이 지역에 산호가 하얗게 변하며 죽는 백화현상이 나타났어요. 한 달에 40개의 군체가 하얗게 변할 정도였죠. 이 속도대로라면 오는 2100년에 산호가 완전히 멸종될 것으로 우려되었지요.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호 아파트를 만들기로 했어요. 일단 바닷속과 최대한 비슷한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양 서로 역할 분담을 해 함께 살아간답니다.연구팀은 가장 바깥쪽 동그라미를 이루는 군체의 길이를 약 47m로 추정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전체 길이를 추산하면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네리다 윌슨 연구원은 “이 생물은 아마 우리가 바다에서 본 생물 중 가장 길 것”이라며, “심해에 매우 ... ...
- 해충으로 세계가 득시글득시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무리 지은 사막메뚜기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에 해당하는 2g의 작물을 먹어요. 1km2 크기의 군체에는 약 4000만 마리의 사막메뚜기가 모여있어요. 이들은 하루에 사람 3만 5000명이 먹을 분량의 작물을 먹어치운답니다. 심지어 바람을 타면 하루에 150km까지도 이동할 수 있지요.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된 개미 왕국을 보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어요. 또 “해외에서 개미 초군체가 발견된 사례는 있으나 대부분 해충 개미라 보존하려고 노력한 사례는 없다”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힘든 살아있는 생태 교육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안양지역 시민연대 ...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천만 마리가 한 가족이라니, 어마어마하지? 이렇게 거대한 가족을 초군체라고 해. 하지만 아직 놀라긴 일러. 더 큰 개미 가족도 있거든~! 전 ... 왕개미 초군체가 발견된 사례는 아직 우리나라가 유일하답니다. 그래서 개미 초군체 연구는 개미의 생태를 알기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되지요 ...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한 뒤 생을 마감하지요. 짝짓기를 마친 암개미는 여왕개미가 돼요. 이 때문에 개미 군체에는 왕은 없고 여왕만 있어요. 또 흰개미는 일하는 계급이 보통 암컷과 수컷으로 이뤄져 있지만, 개미는 암컷만 있답니다. 개미와 흰개미가 이처럼 비슷한 생활 모습을 지니게 된 이유는 비슷한 환경에서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미세조류는 환경 변화에 민감해요. 수온이 올라가면 많이 자라거나, 자외선이 강해지면 군체를 이루는 종류도 있죠. 저는 남해에 사는 미세조류를 채집하여 환경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 중이랍니다.Q남극에는 어떻게 가시게 되었나요? 반대가 있지는 않았나요?어렸을 때는 남극에 갈 생각이 없었고,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