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청마루"(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입] 흥부놀부의 박은 얼마나 컸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조선시대 한옥 방 한 칸의 너비는 약 240cm였어요. 또 방과 방 사이 통로인 ‘대청마루’의 높이는 약 300cm였지요. 여기에 20~30cm 두께의 흙을 바르고 기와를 얹어서 지붕을 만들었으니, 기와집의 전체 높이는 약 330cm였을 거예요. 만약 흥부의 박에 방이 단 한 칸뿐인 기와집이 들어있었다 해도,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한옥을 뚝딱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용해 마루로 올라가는 계단과 방으로 들어가는 문을 만들어 주세요. ➋ 대청마루 반대쪽 안산암을 부수고 모닥불을 설치하세요. 모닥불 주변에 안산암 계단을 설치해서 온돌을 표현해 보세요. ➌ 배너를 방향이 어긋나게 설치하여 병풍을 표현해 보세요. 촛불, 카펫, 독서대와 같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나와요. 그리고 사랑채 뒤에는 여성들의 공간이었단 안채가 위치하고 있지요. 안채는 대청마루에서도 대문 밖을 쉬이 살필 수 있는 ‘ㄷ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요. 또 안채 옆에는 식재료를 보관하고 요리를 하던 곳간채가 있지요.그런데 안채와 곳간채 사이에는 바람이 잘 통하면서 온도까지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하얀 스케치북에 집을 그려 보자. 집이라고 하면 아파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한옥을 그려 넣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한옥은 집보다 전통 문화재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 한옥이 도시 속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틈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에는 고층 한옥이나 한옥 도시가 생 ...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또 습도가 적당하게 유지되어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한옥도 대청마루의 툇마루가 지면보다 높고 통풍이 잘 되어 시원하다. 차가움을 더하자!쨍쨍 내리쬐는 햇볕이 따가운 날엔 바람조차 후끈후끈~. 냉장고 문을 활짝 열어젖힌 채 얼굴을 들이대고 있다가 엄마한테 ... ...
- 지혜 담긴 집 한옥과학동아 l2008년 02호
- 한옥의 곳곳에 스며있다.한옥의 과학다움은 경험적이다. 유구한 세월 동안 손때 묻은 대청마루와 구들장, 문풍지 속으로 조상의 숨결과 지혜가 베어들었다. 나지막하게 트인 창으로 풍경이 흐르고 일직선으로 뚫린 문과 문 사이로 시원한 바람이 분다. 한옥은 겸손한 자세로 자연과 어울리고 그 안의 ...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증명하면 되는 것이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전통가옥의 마당과 대청마루에 약 4℃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이 교수는 올바른 생태학은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인간의 모습까지 모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만든 구조물과 사람의 행위까지 포함한 연구라야 ... ...
- 집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자연환경은 주거문화의 형식과 내용을 규정한다. 우리 선조가 이루어낸 집은 자연의 한 구성물로, 곡선으로 대표되는 미학과 철저한 인간중심의 과학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아왔다고 말해진다. 이는 한국인의 천성이 순박하고 남을 ... ...
- 기후는 생활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과학동아 l1986년 06호
- 一자 ㄱ자형이며 마루가 없는 관서형, ㄱ ㄴ ㅁ자로 대청마루가 있는 중부형, 一자형에 대청마루와 툇마루가 붙은 남부형 등으로 구분된다. 관북·관서형은 추위에 맞도록 가옥구조가 되어 있고 남부형은 더위에 맞도록 개방적이다. 중부는 추위와 더위에 맞는 이중구조를 갖는다. 차차 사라져가고 ... ...
- 설악산의 꽃과 나무들과학동아 l1986년 04호
- 1천종이 넘는 화려한 식물들의 세계 너도바람꽃 한라돌쩌귀 등 희귀식물이 56종남방계식물과 북방계식물이 만나는 곳 연중 5,6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다고 하여 이름붙여진 설악산(雪嶽山,1천7백8m)은 높은 산을 따라 남하하는 북방계 식물과, 낮은 곳을 따라 북상하는 남방계 식물이 만나는 곳이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