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락"(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설탕 시럽을 결정이 미처 생성되지 못할 만큼 빨리 식히면 만들 수 있습니다. 큰 결정(락캔디), 작은 결정(퍼지), 비결정(탕후루)까지, 설탕의 굳는 형태를 달리해 고유의 식감을 내는 겁니다. 아 물론, 설탕 디저트의 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 외에도 무수히 많습니다. 설탕 시럽을 가열하고 ...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락 음악에도 반응할까요? 처음 소리로 실험을 하게 된 계기도 클래식이나 락 등의 음악으로 화학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지 알고 싶어 시작했어요. 음악으로 어느 정도 제어가 가능하지만, 아직 일정하게 통제하기는 힘듭니다. 지금은 두세 가지 소리의 패턴을 추가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에요. 연구가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친구 만드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조건이 엄격한 곳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제페토 활동을 열심히 한다면, 크루에서 먼저 연락이 올 가능성도 있답니다. 미션 제페토 활동 인증!제페토의 다양한 소통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월드에서 대화를 하거나 버스킹을 듣거나 크루에 가입하는 등의 활동 모습을 찍어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 ...
- [과학 뉴스] 티라노사우루스처럼 팔이 짧은 공룡 ‘메락세스 기가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팔이 짧은 육식공룡 신종이 발견됐어요. 바로 ‘메락세스 기가스’라는 공룡입니다. 이 공룡은 두 발로 걸어 다니는 ‘수각류’ 육식 공룡이에요. 7월 7일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피터 마코비키 교수팀이 발표했지요.마코비키 교수팀은 2012년,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의 약 9500만 ... ...
- [특집] 우리 것이 가장 힙한 것이여 이날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작은 실내 무대에서 공연합니다. 그런데 이날치 활동을 하고 인기를 얻으면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처럼 크고 열린 무대에 처음 서게 됐어요.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공간들에서 새로운 청중과 더 가까이 소통하며 공연할 수 있게 된 거죠. ‘범 내려온다’가 앨범의 첫 번째 곡인 ... ...
- [특집] 뜨겁다?구부러진다? 별난 얼음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와우! 흔들어! 전 세계의 수많은 얼음이 모여서 즐겁게 춤을 추고 있습니다.마치 아이스 락 페스티벌 같은 현장에서 디제잉을 하는 두 분,가만 살펴보니 디제이가 아니라 연구복을 입은 과학자네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지금부터 한 얼음씩, 인터뷰를 해보겠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락)을 사용해 닉네임을 수락이라고 지었죠. 거기에 가장 좋아하는 숫자인 17을 붙여 ‘17수락’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Q 문제를 푸는 것과 내는 것 중 어떤 것을 더 좋아하나요? 처음에는 문제를 내는 것이 재미있었는데 지금은 푸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른 회원들의 문제를 통해 여러 유형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9화. 상반기 결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하세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2021년도 어느덧 절반이 지나 벌써 7월이 찾아왔습니다. 코로나19로 여전히 힘들지만, 그래도 올해의 절반을 어떻게 보냈는지 함 ...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 많은 국가가 외출을 제한하고 상점들의 영업을 중단시키는 등 락다운 조치를 했다 ...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는 해양동물에 축적될 수도 있다.장 작가가 환경을 주제로 작품활동을 한 것은 뉴락이 처음은 아니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는 방사능에 관심을 갖고, 전공 분야였던 조소가 아닌 식물 세밀화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인터넷과 전문서적, 다른 작품 등을 참고해 방사능에 ... ...
- [에디터노트] 환경 특집호를 시도하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환경이 화두가 된 시대를 예술가의 감각으로 낯설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지구에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지역이 매우 적음을 정량적 연구로 밝힌 생태학 기사를 통해 인류가 무겁게 짊어지고 가야 할 책임도 되짚었습니다.인공 기후조절기술인 ‘지구공학’ 분야의 첫 자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