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맡기기"(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이 라이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마주칠 때마다 딱지를 흘겨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온갖 일을 딱지에게 맡기기 시작했습니다. 딱지가 싫은 기색을 보이기만 해도 비아냥이 돌아왔지요. “페가수스 호로 가려면 공을 많이 세워야 한다며? 열심히 일하라고~.”그건 딱지도 바라는 바였습니다. 문제는 해롱 선장이 맡기는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도달했습니다. 컴퓨터가 판단을 하는 기술, 인공지능(AI)입니다.컴퓨터에게 판단을 맡기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도를 ‘머신러닝’이라고 부릅니다. 머신러닝은 탄생 80년을 앞둔 역사 깊은 학문이지만 암흑기가 길었습니다. 머신러닝을 구현하기엔 컴퓨터가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조매화’라고 불러. 바다나 하천에 사는 수초들은 주로 물의 흐름에 꽃가루를 맡기기 때문에 ‘수매화’라고 부른단다. 이중 흔히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건 대부분 ‘풍매화’야. 2018년 3월, 산림청은 설명 자료를 통해 “꽃가루 알레르기를 쉽게 일으키는 나무는 참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아직 자율주행자동차에 운전을 맡기기에는 마음의 준비가 안 된 것일까. [ETRI] 인지-판단-주행, 레벨3 ‘에트리카’ “혼자 타보시겠어요?”4월 2일 대전 유성구 ETRI. 이동진 ETRI 자율주행시스템연구그룹 선임연구원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부 지역의 사람들은 라마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라마에게 양떼를 지키게 하는 임무를 맡기기도 했답니다. 라마와 마찬가지로 낙타과(科)에 속하는 알파카는 남아메리카의 산악 지대 사람들이 가축으로 길러왔어요. 알파카도 라마처럼 가족 단위로 무리를 지어 살아요. 하지만 라마보다 몸집이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소설가의 길을 두고 대학교 4학년 때 많이 고민했다. 둘 다 정말 하고 싶어 결국 운에 맡기기로 했다. 문예지에 당선되면 소설가, 안 되면 수학과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첫 출품작이 당선됐고, 글을 쓰는 일을 평생 업으로 삼았다.김 작가의 수학 실력은 상당하다. 수학자들도 자기 ... ...
- 뻐꾸기, 알 맡기려고 생김새도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스스로 알을 품어 키우지 않고 개개비나 붉은머리오목눈이 같은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몰래 낳고 가는 얌체, 뻐꾸기. 이런 뻐꾸기가 남의 둥지에 알을 더 쉽 ... 방해받지 않고 쉽게 개개비의 둥지에 알을 낳을 수 있었답니다. 외모까지도 알을 맡기기 위해 진화했다니, 진화의 신비가 정말 ...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캠페인을 시작했다. 안 쓰는 휴대전화를 이들 기업의 영업점이나 EPA 사무실에 맡기기만 하면 되는데, 20%를 밑도는 휴대전화 재활용률을 끌어올리려는 목적이다. EPA에 따르면 미국인 가정에서 잠자고 있는 고물 휴대전화는 1억 대가 넘고, 이를 재활용하면 1년간 19만 4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정도의 ... ...
- 미로 왕국의 공주 '이기리 저기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2호
- 퍼즐을 해서 음식을 먹을 도구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 이제는 퍼즐을 넘어서 운명에 맡기기로 했다.과연 썰렁 홈즈는 무엇을 선택할까?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퍼즐 풀이를 떠나 재미있게 선택해 보자. 음식을 먹는 도구로 무엇을 선택할까?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정답미로를 잘 ...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4년 06호
- 수 있겠느냐는 시각이다. 개혁도 좋지만 학내 조율자로서 상징성을 띠는 총장의 역할을 맡기기에는 상당한 위험성이 있다는 주장이다.반면 한편에서는 선진 교육 시스템과 연구 분위기를 도입해 국내 과학교육의 수준을 한단계 도약시켜줄 구원자로 결코 손색없다는 평이다. 더군다나 한국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