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질
매체
도체
전달의 수단
d라이브러리
"
매개물
"(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감염자의 비말이 직접 입이나 코로 들어와 감염되는 경우도 있고, 비말이 묻은 물건,
매개물
을 통해 전염될 수도 있다. 문제는 지름이 5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비말도 존재한다는 점이다. 바로 ‘에어로졸(aerosol)’이다. 에어로졸은 병원 내에서 인공기관지 삽관 등 시술이 있을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뮤온중성미자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레노는 중성미자를 검출하기 위한
매개물
질로 벤젠 계통의 투명한 유기용액을 이용한다. 이 용액을 ‘섬광액체’라고 부른다. 중성미자가 섬광액체 속을 통과하다가 양성자와 충돌하면 양전자와 중성자가 나온다.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는 ... ...
뉴턴도 몰랐던 중력 원인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대답을 찾아왔기 때문이다. 과학을 잘 안다는 대학생들에게 중력이 생기는 원인,
매개물
도 없는데 먼 거리에 힘이 미칠 수 있는 이유를 물었을 때 대답을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그런데 중력에 대한 뉴턴 방식의설명을상식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은 ‘왜’라는 질문을 빼놓지않는다. ... ...
흑백 착시현상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반사율, 물체와 우리 눈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물
의 투명도 등이 이런 요소다. 연구팀은
매개물
의 투명도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똑같은 원반이 희거나 검게 보이는 착시가 일어나도록 만든 것이다 ... ...
공개된 파일에 숨겨진 음모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자연스럽게 결합해 초보자라도 다양한 암호화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해준다.
매개물
, 즉 숙주는 그림 파일뿐만이 아니다. 오디오 파일은 물론, 평범해 보이는 스팸 메일에 메시지를 은닉해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방금 인터넷에서 받은 MP3 파일에, 그리고 방금 지워버린 스팸에 기가 막힌 ... ...
환경촉매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전반에서 반드시 빼놓을 수 없는 '효자'가 있다.촉매다.말 그대로 반응을 촉진하는
매개물
이다.흥미롭게도 촉매는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반응속도를 몇배 올려준다.괜찮은 촉매를 확보하면 새로운 소재를 만들 때 반응속도를 획기적으로 늘려 생산비용을 훨씬 줄일수 있다는 뜻이다.그래서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행위다.신화에서 보면 향이 신계(神界)의 상징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과 인간의 교통
매개물
이기도 하다. 용궁에 다녀온 수로부인의 몸에서 향내가 났다는 기록이나 신선계를 그린 그림에서 향연이 자욱한 것이 그 예다. 땅속 조상 모시기조상을 부르는 의식으로 술을 모사 그릇에 나누어 붓고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매우 혁신적인 발전소가 가능해진다.핵융합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MHD 직접발전은
매개물
이 없이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핵융합 생성물이 하전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연구될 D(중수소)-${ }^{3}$He 핵융합발전은 핵융합의 생성물을 직접 작용가스로 사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보게 되는 것이다.빛의 속성이 전자기적 파동현상이라는 것이 밝혀진 이상, 빛 역시 그의
매개물
로 사람들은 우주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정지' 에테르가 물리학에 등장한 것이다.그러면 그러한 에테르가 자연에 존재하는 것인가? 이를 확인해보려는 마이켈슨과 몰리의 실험결과(Michelson and Morley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등장해암수개체를 달리하고 있는 식물은 벌이나 나비같은 곤충 또는 바람의
매개물
등을 통해 수분이 이루어져 씨앗을 맺고 자손을 남기고 있다. 이같은 수정 방법 외에도 식물은 삽목(꺾꽂이) 취목(휘묻이) 분주(分株) 등의 방법으로 복제돼 한 그루가 많은 복제그루로 될 수 있다.동물에서는 이러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