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본"(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옅은 냄새다.딸랑딸랑 곰을 쫓으며 전국 산을 누비다한반도에서 자라는 풀(초본)과 나무(목본)를 모두 합하면 3500여 종이다. 냄새만 맡고도 이들의 이름을 알아맞히는 식물분류학자의 신묘한 능력은 쓰임새가 많다. 허 연구원은 현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에서 사라져가는 우리 식물을 ... ...
-
- [진흙] 지구를 빚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진흙은 수억 년간 지구 지형을 다채롭게 빚어내는 조각가이자, 그간 지구 환경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꼼꼼히 기록한 역사가라고 할 수 ... 생물들의 움직임이랍니다! 용어정리*초본식물 : 줄기에 목재를 형성하지 않는 식물. *목본식물 : 목질 생체조직을 만드는 식물. 나무가 대표적이다 ...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장 많은 탄소를 흡수하는 건 역시 육상 식생이 흡수하는 그린카본이다. 면적도 넓고, 목본식물의 경우 규모도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갯벌이 흡수하는 블루카본의 양도 이에 비해 크게 적지 않다.갯벌은 육상에 비해 탄소 흡수 속도가 최대 50배 빠른 것이 장점이다. 맹그로브의 경우 1년 동안 1ha ...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조선생물학회는 1949년 조선식물향명집을 개선한 ‘조선식물명집’을 발행했다. ‘목본편’과 ‘초본편’으로 구성된 조선식물명집은 식물 이름을 3000종 이상 정리했으며, 이 책은 이후 국내 식물 이름의 기준이 됐다. 나비 종 연구에 통계학 도입한 석주명 ‘나비 박사’로 유명한 석주명도 ... ...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집착의 나무’마다가스카르 밀림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은 거대한 고사리처럼 생긴 목본 양치류다. 그런데 라누마파나국립공원에는 대나무 숲이 펼쳐져 있다. 다섯 가지 대나무 가운데 두 가지는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이다. 이 가운데 하나인 자이언트대나무의 죽순에는 청산(HCN)이 들어 있어서 ... ...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자라는 민들레, 질경이, 강아지풀 같은 자생초본식물과 향나무, 소나무 등 목본식물을 절단면과 비탈면에 심었다”며 “녹화공법으로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 절단면의 토양이 침식되거나 유실되는 일을 막고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이용돼 종 다양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아니다. 대나무가 나무인지 풀인지 알아보려면 목본식물의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목본식물은 여러해 동안 성장하는 다년생 식물로, 유관속 조직을 가지며 매년 생장하는 줄기가 있어야 한다. 대나무 역시 이런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나무처럼 새롭게 수피를 만드는 형성층이 없기 때문에 ... ...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과학동아 l2003년 04호
- 거친다. 너무 어린 나이에 생식하면 그 자손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거의 대부분의 목본류는 일정한 햇수가 지나기 전에는 꽃을 피우지 않으며, 초본류의 경우도 일정한 시기 동안에는 꽃을 피우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로수로 많이 이용되는 포플러의 경우 8년 이상의 수령에 도달하기 전에는 결코 ... ...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과학동아 l1998년 11호
- 로 고정한 이산화탄소는 다시 대기중으로 되돌아가고 만다. 반면에 부피 생장을 하는 목본식물인 나무는 광합성으로 고정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목재로 변화시켜 수백년에서 수천년 동안 고체로 유지시킨다. 이산화탄소를 고체로 변환시켜 목재나 종이로 저장하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흔히 ... ...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과학동아 l1997년 03호
- 알아보자.백악기 한반도 전역에서는 다양한 공룡이 득실거렸다. 그들은 아름드리 목본성 양치류 초원과, 소철, 은행, 송백류 등 나자식물들이 여기저기 자라는 평원을 낙원으로 삼아 살았음이 밝혀졌다. 1억년 전의 한반도는 현재 맹수들이 뛰어다니는 아프리카의 사반나초원 그대로였다.당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