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스테리"(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포식자의 눈에 띄고 만다. 유리개구리가 혈액마저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은 오랫동안 미스테리였다. 비밀을 밝혀내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투명한 상태를 연구하려면 개구리가 실험실에서 편안한 상태로 휴식하거나 잠들어야 한다. 유리개구리는 활동할 때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마취를 했을 때도 ... ...
- [특집] 최초 발견! 참매미 약충은 5형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된다고 알려졌지만, 대부분 매미가 땅속에서 어떻게 자라고, 왜 이런 과정이 필요한지 미스테리였죠. 2017년 봄,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행동생태연구실에 있던 베트남 과학기술아카데미 호아 응우옌 연구원의 요청으로 지구사랑탐사대 김신혜, 곽수진, 이원재, 유상홍, 엄재윤 대원이 모였어요. ... ...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스포일러가 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야기는 후반부로 갈수록 미스테리하고 소름끼치면서도 슬픈, 다층적인 구조를 띤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고, 등장인물들의 용기와 희생,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빛나며 이야기는 끝을 향한다. 책의 말미에는 게임의 리얼리티 모드에 비밀이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구성했죠. 이 때문에 게임을 하는 사람은 명확히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상하게 되고 미스테리한 느낌을 받습니다.림보에서는 공간감을 표현할 때도 무채색을 활용합니다. 게임을 하는 사람의 시선에서 볼 때 화면에서 매우 가까운 공간은 낮은 명도(저명도) 영역의 무채색인 검정 계열의 색으로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째깍째깍”. 시간이 흐르는 소리가 좁은 방을 감돌았다. 수학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사람을 초청한다는 기묘한 초대장을 받은 우리는 지금 낯선 방에 갇혀있다. 들어왔던 문은 도무지 열리지 않고 도움을 요청해도 밖에서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방을 둘러보니 낌새 ...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태양과 달은 가장 잘 알려진 천체이면서도 아직까지 그 비밀을 완전히 밝혀내지 못한 미스테리 천체이기도 해요. 올해는 태양과 달을 탐사하는 탐사선이 모두 발사될 예정이랍니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올해 여름에는 태양의 비밀을 밝히는 태양 탐사선 발사도 계획되어 있어요.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in MotionRole of Huge Geometric Circular Structures in the Reproduction of a Marine Pufferfish나미브 사막의 미스테리 ‘요정의 원’, 왜 생기는 걸까?www.dongascience.com/news.php?idx=1607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아니다. 다시 ‘4색 문제’와 ‘케플러의 추측’으로 돌아가 보자. 컴퓨터가 오랜 수학의 미스테리를 해결해 줬지만 수학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심지어 컴퓨터의 증명이 잘못됐다는 걸 증명하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왜 수학자들은 이렇게 컴퓨터의 성공에 찜찜해 하는 걸까?수학자는 어떤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남해안 24곳에 감시용 CCTV와 파도 관측기를 설치하고 기상 쓰나미 감시에 들어갔다.당시 미스테리로 남았던 기상 쓰나미는 이제 어느 정도 비밀이 풀렸다. 바다를 잘 아는 사람들은 흔히 바다 날씨는 알 수 없다고 말한다. 눈앞에선 바람이 잔잔하고 햇볕이 내려쫴도 배를 타고 조금만 나가면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표했다. 그러나 2005년이 될 때까지 무려 10여 종의 개화유전자가 나왔지만 플로리겐의 미스테리는 풀리지 않았다. 개화유전자 CO와 FT플로리겐의 존재가 광주기에 의한 개화유도 실험에서 밝혀진 만큼, 유전학적으로는 광주기에 대해 반응하지 못하는 돌연변이체를 연구해야 했다. 애기장대에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