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행"(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이 라이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해롱 선장은 몸을 투명하게 만들어 주는 도깨비감투를 쓰고 몰래 페가수스 선장을 미행했어. 살금살금 따라갔더니 그곳에는 라일락이 기다리고 있었지. 해롱 선장은 약간 떨어져서 두 사람의 대화를 엿들었어. 그런데 라일락이 페가수스 선장에게 좋아한다고 고백하는 거야! 해롱 선장은 하늘이 ... ...
- [한페이지 뉴스]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주를 항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오무아무아의 모체가 됐던 미행성(항성 또는 행성으로 병합돼 지금은 사라진 과거의 소천체)은 항성 근처에서 분해된 뒤 항성계 밖으로 떨어져 나와 우주를 여행하다 태양계에 도달했다. 연구팀은 또 오무아무아가 태양을 지날 때 속도가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행성 형성과정의 비밀을 한 꺼풀 더 벗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용어정리* 미행성(planetesimal) 현재의 우주 행성과 항성을 만든 과거의 소천체.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소행성(asteroid) 가스를 분출하는 혜성을 제외하고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소천체를 지칭한다.* 카이퍼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cm 정도씩 지름이 커졌다. 수없는 미행성들의 충돌 끝에 몇몇 미행성들이 지름 3500km(현재 달의 크기)를 넘어서면서 원시행성으로 진화했다. 이 과정에서 수성과 금성, 지구, 화성이 생겨났다. 목성은 주변 기체를 끌어당겨 대기를 구성해 갔고, 지구는 내부의 물질들이 열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루어진 덩어리로 시작했어요. 그러다 덩어리가 점점 커지며 중력도 세지고, 주변의 미행성체들을 잡아당기며 충돌해 커졌지요. 이때 무거운 물질은 중심으로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은 바깥으로 퍼졌어요. 그 결과 지구의 가장 안쪽에는 무거운 핵이, 그 다음엔 맨틀이, 가장 바깥쪽에는 지각이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알죠? 태양계가 처음 탄생할 때 가스와 먼지가 정전기 때문에 합쳐지면서 아기행성(원시 미행성)이 돼요. 인간도 10대에 접어들면 몸에 변화가 생기는 것처럼, 아기행성은 점점 자라다가 어느 순간부터 중력을 갖게 된답니다. 이때부터 각자의 중력으로 서로 밀치는데, 운석처럼 우주를 떠도는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빈 라덴이 대표적이다. 숨어 있는 빈 라덴을 잡기 위해선 그 주변인물을 탐문하고 미행해야 한다. 그런데 이때 너무 많은 사람을 탐문하거나 엉뚱한 질문을 여기저기 하고 다니면 수사관들이 움직이고 있다는 소식이 금세 빈 라덴의 귀에 들어갈 수가 있다. 그래서 먼저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 ...
- Part 2 - Moon Story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뒤 행성들이 전체적으로 태양계 바깥방향으로 밀려나는 과정이 있었다"며 "이 때 많은 미행성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안팍으로 튀어나갔는데, 화성의 위성은 그 때 포획됐을 것"이라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뭉쳐 만들어진 것이 행성이다. 그런데 행성이 되기에는 양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이런 미행성이 그대로 남은 것이 오늘날의 혜성이다. 혜성은 태양계 형성 당시의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타임캡슐인 셈이다.혜성의 크기는 대략 수백m부터 수십km까지 다양하다. 혜성이 태양 가까이에 접근하면 열 ...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작은 소행성은 충돌로 인한 물리적 변화 외에는 지질학적 변화를 거의 겪지 않았다. 미행성의 잔재인 운석은 태양계의 가장 초기 모습을 고스란히 직하고 있는 화석인 셈이다. 운석 덕분에 현재 우리 태양계의 나이 46억 년도 알아낼 수 있었다.그렇다면 소행성과 운석은 가족 내지는 친척뻘이라고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