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항자
적대자
상대
비판자
반대론자
방해자
적수
d라이브러리
"
반대자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고 환경을 바꾸는 노력이 당연하다고 여깁니다. 테라포밍
반대자
들은 테라포밍이라는 발상 자체가 제국주의적이라고 비판합니다. 화성을 테라포밍하는 탐험가들은 제국주의 시대,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아시아 대륙을 착취한 과거 유럽의 식민주의자들과 다를 바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실험 결과가 제기되어 왔던 것을 고려해 보면, 갈릴레이의 실험만 보고 입장을 바꿀 만큼
반대자
들의 입장이 단순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피사의 사탑 일화는 그저 비비아니의 거짓말일 뿐일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위인전의 다른 문학적 장치들처럼 이 이야기도 위인의 특별한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제안했습니다. 이 방법은 가장 싫은 사람에게만 표를 주지 않기 때문에
반대자
가 적은 사람이 당선될 가능성이 큽니다. 1787년 프랑스 수학자 장 보르다는 ‘투표를 통한 선거에 대한 소론’이라는 논문을 통해 1등부터 꼴등까지 점수를 부여해 투표하는 ‘보르다 투표’를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소독법을 수용하는데 방해가 되었다. 앞서 병원 내 감염을 연구한 제임스 심슨 역시 주요
반대자
였다. 그는 리스터의 세균(박테리아)을 ‘신화적 곰팡이’라고 불렀다. 많은 이들이 리스터의 세균론이 ‘상상’일 뿐이며 그의 방법을 ‘석탄산 방법’이라 폄하했다. 리스터의 방법이 널리 수용된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레우벤후크의 작업에 호의적인 것은 아니었다. 당대에 레우벤후크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자
였던 하트수커나 조직학의 창시자였던 프랑스의 비샤는 아예 현미경의 유용성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있었다. 현미경은 심심풀이 놀이기구일 뿐이라고 조롱하는 사람도 있었다. 고귀한 천체를 보는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한편으로는 LIGO의 발음이 ‘lie-go’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일부
반대자
들이 애용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어쨌든 LIGO의 두 관측소는 1999년 11월 준공됐고 현재는 시험관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다. 2002년 11월 초 캘리포니아공대를 잠깐 방문한 필자는 LIGO 사무실에 들렸다. 그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강연내용이 어땠길래 ‘전쟁’이라는 표현을 썼을까.화이트는 강연을 통해 자신의
반대자
들은 근대과학을 이끈 베살리우스와 케플러, 그리고 갈릴레이 등을 박해한 중세의 편협한 사람들에 비유했다. 그는 역사를 통해 종교가 과학을 박해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자신은 과학의 순수성을 지키기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시대의 흐름에 맞서서 과거를 지키려는 사람들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 때도 이런 ‘
반대자
’로 뮌헨대학의 의화학 교수이자 사회위생학 분야를 이끌던 막스 폰 페텐코퍼가 있었다. 페텐코퍼는 세균감염설을 믿지 못하고 감염설의 허구를 증명하고자 노력했다.그는 1892년 함부르크에서 콜레라가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아니 그의 몸이 그러한 사실을 입증한 셈이었다. 사실 세균병인설의 지지자나
반대자
양쪽 모두 숙주의 저항력과 면역력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던 때였다 ... ...
실패로 끝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전문가를 초청해 찬반의 입장을 들었다. 찬성자는 우츠 박사(캘리포니아대 통계학),
반대자
는 하이만 박사(오레곤대 심리학)였다.1995년 9월 1일 우츠 박사는 각종 통계 수치를 이용한 긴 논문을 통해 초심리학 연구가 성공했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스탠포드 국제연구소의 경우 총 1백54회 실험이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