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추"(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순록들이 무언가를 열심히 찾고 있다. 지의류다. 순록은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는 유일한 반추동물이다. 눈 덮인 땅에서 순록은 어떻게 먹이를 찾는 걸까. 비결은 자외선(UV)을 보는 눈에 있었다. 너새니얼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생명과학 및 인류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연구팀은 순록 안구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음머~! 고기를 주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일어나고, 영양분도 흡수되지요. 이때 제4위로 내려온 미생물도 함께 분해되고 흡수돼 반추동물의 단백질 영양분이 돼요. 이곳에서 흡수되지 않은 영양분은 소장으로 이동해 흡수된답니다.그런데 미생물이 음식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메테인 기체가 발생해요. 메테인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의 ...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목초지를 개간하기 위해 계속해 숲도 파괴하고 있다. 인간의 주요 식량인 소나 양 같은 반추동물은 먹이를 소화하며 트림과 방귀로 메탄가스를 내뿜는다.스웨덴의 민간단체, 이트-랜싯위원회(The EAT-Lancet Commission)은 이런 상황에서 ‘음식 쓰레기를 줄이는 것’을 주요 실천 방법으 로 제안한다. ... ...
- [과학뉴스] 미생물 고기로 탄소 배출량 줄인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이용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는 모델(MAgPIE)을 활용했다. 그리고 소, 양 등 반추동물의 고기 소비를 미생물 단백질로 대체하는 비율에 따라 시나리오를 만들었다.미생물 단백질 대체율이 20%일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6% 감소했다. 대체율이 50%, 80%일 때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각각 83%, 8 ... ...
- [만화 뉴스] 소 반추위 세균이 플라스틱 분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어떤 세균이 어떤 효소와 작용해 플라스틱을 분해한 건지 알아볼 계획이랍니다. ●반추위 : 포유류 소목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 특수한 소화관. 되새김을 하기 위해 4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다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소의 반추위로 들어가 안착하도록 설계했다. 소의 위 구조상 캡슐은 소화되지 않고 반추위에 남는다. 이 속에서 캡슐은 체온, 활동량, 위 산성도(pH) 등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일일 최대 300번 측정할 수 있다. 캡슐에는 통신망이 탑재돼 있어 근처 안테나로 정보를 보낸다. 이 정보는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같은 반추동물의 ‘위석’이에요(아래쪽 사진▼).위석은 반추동물의 위에서 만들어져요. 반추동물들이 풀을 뜯어 먹다가 우연히 외부 물체를 삼키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이 물체를 다른 장기로 보내지 않고 위에 머물게 해요. 그러다 동물들이 토하는 과정에서 다시 밖으로 나오지요. 보통 1~6cm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혹은 배고픔 호르몬 분비가 반복되면서 음식을 자주 먹게 되는 것이다.육식동물이나 반추동물은 다르다. 전분을 거의 먹지 않고 이로 인한 인슐린의 역할이 미미하기 때문에 호르몬 작용으로 배고픔을 느끼는 정도가 낮다. 음식을 섭취하는 빈도가 아무래도 적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게다가 ...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후회야말로 사람을 성장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고 주장한다. 지나간 시간을 반추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마음의 상처를 지키는 낙법결국 중요한 것은 후회 자체보다 그 이후의 대처다. 과거의 일에 머무르는 것으로 끝내지 말고, 철저한 현실 지각과 반성을 통해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가게 된다. 전국 각지를 다니면서 찾아 먹었던 산해진미가 그리웠던 허균은 그 맛을 반추하며 도문대작을 쓰게 된다.도문대작은 ‘푸줏간 앞에서 입을 크게 벌려 고기 씹는 시늉을 해 본다’는 뜻이다. 책에는 병과 음식(떡 종류) 11종목, 채소와 해조류 21종목, 어패류 39종목, 조수육류 6종목, 차, 술,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