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d라이브러리
"
배합사료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업스케일링, 필름복원, 디지털화...마스터피스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마스터피스(Masterpiece)’. 우리말로는 ‘걸작’ ‘명작’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는 상품을 일컫는다. 시대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마스터피스는 영화를 비롯한 영상 콘텐츠에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현대의 기술로 재탄생한 마스터피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소금 논란이 뜨겁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5g 이하로 섭취량을 줄이라고 권고하는데, 최근 반대로 저염식(低鹽食)이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의학학술원(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기대된다.연구팀은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 같은 영양성분이 든 고에너지 명태 전용
배합사료
도 개발했다. 명태가 잘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이 사육하는 명태는 자연 상태에서보다 훨씬 빨리 자랐다. 명태는 원래 알을 낳기까지 성숙하는 데 3~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김기환 사장이 1990년대 후반 양계공장(Kim’s Poultry Farm)을 운영하면서부터다. 김 사장은
배합사료
제조법과 최신 부화기술을 익혀 현지 400여 개 농가에 양질의 사료와 병아리를 공급하고 있다. 농가에서 자란 닭을 사들여 공장 내 도계장에서 잡아 현지 유통회사에 파는방식으로 연간 약 20억 원의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건조시켜 수분 함유량을 10% 아래로 떨어뜨린 다음 다른 사료에 3∼4% 정도씩 섞어 쓰는
배합사료
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건조 과정에서 나오는 폐수는 따로 처리한다.습식 사료화는 음식물쓰레기를 그대로 또는 물을 약간 타서 죽 상태로 만들어 돼지, 오리 같은 가축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예로부터 선조들은 밥을 단순히 생명유지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밥이 보약’이란 말도 여기서 왔을까. 상차림이 부실해도 맛깔스런 밥 한사발이면 족하다란 표현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우리네 입맛이 밥맛 하나에 이토록 민감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손맛이 반찬맛을 좌우한다면 밥맛을 결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위한 선별과정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사료는 가축에 직접 먹이거나
배합사료
의 원료로 이용된다.재생연료 바이오가스 액체연료로 가능한 연료화음식물(식물체를 근간으로 하는)이 태양에너지의 변형된 에너지라는 점에서 기술적 경제적 문제만 해결된다면 음식물 쓰레기는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머리좋기로 소문난 오랑우탄 침팬지 개도 따라 하지 못하는 인간의 말을 한낱 조류가 능숙하게 흉내낸다.새가 말을 한다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가장 사람에 가깝다는 영장목의 유원인중에서도 지능이 제일 높다는 오랑우탄이나 침팬지조차도 말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 또한 아무리 훈련이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위쪽 부리가 밑으로 가고 아래쪽 부리는 위로 올라가는 기묘한 모습으로 먹이를 먹는다.근대 동물원이 생긴 것은 1928년 영국 런던에서였다. 그후 각국마다 동물원을 만들고 야생동물들을 사육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창기의 동물원은 규모가 작고 우리도 동물들이 생활하기엔 너무 비좁은 데다 사 ... ...
신세타령하는 농민을 보고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돼지는 1백30만두에서 4백30만두로, 닭은 1천1백만수에서 5천3백만수로 늘어났다. 또한
배합사료
생산량은 20만톤에서 1천만톤으로 늘어났다.이러한 물량면에서의 성장뿐만 아니라 축산분야의 대부분의 시설이 근대화 되었다. 특히 사료생산분야는 거의 다 컴퓨터화되어 있어서 질적인 발전 또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