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은
보답
수은
bosh
bossi
d라이브러리
"
보시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사건파일 #4 벌거벗은 임금님우리는 비밀을 만들기 어려운 세상에서 살고 있다. 라면 하나를 사러 편의점에 다녀오더라도 누군가에겐 반드시 목격되게 돼있다. 우선 집을 출발할 ... 가상사건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사의 마지막 퍼즐을 채우는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만나
보시
죠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참과 거짓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사의 마지막 퍼즐을 채우는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만나
보시
죠.) 말은 칼보다 힘이 세다. 법정에서는 더 그렇다. DNA나 화학물질 등 증거로 맞출 수 없는 사건의 퍼즐은 피해자나 가해자의 말, 즉 진술로 찾아야 한다. 인공지능(AI)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지만 현장에서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마당에 있던 나무를 뽑아가고, 울타리며 꽃, 벽돌까지 뜯어갔어요. 하나 남은 이 집도
보시
면 아시겠죠? 사람들이 집을 뜯어갈까 봐 꼼짝없이 벗어날 수 없는 신세가 되어 버렸어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자연이 만든 전기 벼락 여름이면 종종 번쩍이는 번개. 번개 중 땅으로 떨어지는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장비들이 즐비했다. 연신 감탄하는 기자에게 박 교수는 말했다. “신기하죠? 하지만
보시
는 큰 로봇이 전부가 아닙니다.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로봇도 있죠. 연구실 이름인 ‘멀티스케일’인 이유입니다.” 외부 자기장으로 몸속 로봇을 움직이다 MBR Lab은 몸속에 들어간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연구단의 장비들은 모두 이렇게 연구원들이 직접 맞추고 배열하고 조정한 것입니다.
보시
는 실험 장치에 연구원들의 피와 땀이 녹아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심혈을 기울여 만든 장치지만 기본 원리는 “간단하다”는 것이 성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초강력 레이저의 핵심 원리는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모두 1등을 차지했습니다. 그 뒤로도 많은 독자들의 아이디어가 보태져 지금 여러분이
보시
는 특집 기사로 완성됐습니다. 신년호부터 들어가는 연재 기획물 역시 마찬 가지입니다. 주태성 독자위원이 제안한 ‘SF 영화 나 소설 속 과학이야기’는 이번호부터 ‘SF영화로운 덕후생활’로 연재됩니다.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간을 2년으로 단축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습니다. Q축산 스마트팜의 미래는 어떻게
보시
나요?돼지 빌딩과 같은 집단 가축 사육은 냄새 및 오물 처리에 대한 문제가 해결돼야 합니다. 또, 앞으로는 배양육이나 대체육 등 실험실에서 생산하는 육류도 고려해야 합니다. 한편 식물과 함께 키우기 ... ...
[화보] 실험실에서 탄생한 예술! 아트 인 사이언스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각종 화학 약품과 실험 도구가 가득한 실험실.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곳에서 신비로우면서 아름다운 예술이 탄 ... ‘아트 인 사이언스’ 공모전을 개최하는데요. 정체를 알면 더 놀라운 수상 작품들을 만나
보시
지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빅브라더 사회에서 개인의 자유가 침해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시
나요.빅브라더 사회에서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입니다. 가령 하루에 크림빵을 3개 이상 먹으면 테러리스트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해봅시다. 이로 인해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하나가 아닌 여러 가지를 보는 능력을 길러줘야 합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어떻게
보시
나요?최초의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필즈상 수상자인 팀 가워스가 2009년에 조합론 분야의 난제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같이 해결하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이 제안에 테렌스 타오를 포함해서 40명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