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사선"(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과학의 눈’이야말로 이 필요조건을 가장 잘 충족시킨 책이다. 가시 스펙트럼 너머의 복사선은 빛의 속도로 지나가고, 지구 밖에서 온 입자들은 버터를 자르는 뜨거운 칼보다도 쉽게 우리 몸을 관통한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우주의 모든 공간을 가득 채운 까닭에 무수히 많은 과정이 너무 빨리 ... ...
- 다른 우주의 길목, 웜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입자가 방출될 수 있다는 이론이 뒷받침된 덕이다. 양자역학적 현상으로 블랙홀이 열복사선을 방출할 수 있다는 ‘호킹 복사’가 대표적이다.하지만 웜홀의 존재에 대해 의심의 눈길을 보내는 사람도 많다. 또 수학적 풀이에 따라 웜홀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도, 불안정성이 커서 물리적 의미가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는 물리상수인 빛의 속력(299792458m/s)을 이용해 1m를 재정의 했다. 크립톤-86 원자가 내는 복사선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를 측정해 불확도를 3×10-9 수준으로 1m를 정의한 것이다. 특히 킬로그램의 경우 지금까지 단위 중에서 유일하게 인공물 표준을 사용해왔다. 바로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인공물인 만큼 닳거나 파손될 가능성도 있었다. 표준 과학자들은 1960년 크립톤-86 원자의 복사선을 이용해 미터를 재정의했다. 진공 중 크립톤-86 램프에서 나오는 주황색 빛 파장의 1 650 763.73배 되는 길이를 1 m로 정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물리적 원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언제든지 구현이 가능한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세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수백 THz(테라헤르츠·1 THz는 1012 Hz)에 이르는 원자나 이온의 복사선에 주파수 발생기의 주파수를 일치시켜 불확도가 10-18 수준인 ‘광시계’를 개발 중이다. 초의 정확도가 100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불확도 10-18 광시계, 독자 기술로 개발할 것 -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흡수하는 양을 분석했다. 일반적인 상태의 헬륨은 관측하기가 어려워, 주인별이 내뿜는 복사선이 WASP-107b의 대기를 때려서 만들어내는 ‘준 안정’ 상태의 헬륨을 관측했다. 준안정 상태의 헬륨은 비활성기체인 헬륨보다 활성이 높다. 특히 적외선 영역에 나타난 헬륨 신호는 지구대기에 의해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원자보다 5만6000배 이상 주파수가 높다. 이를 기준으로 1초를 정의하면 이터븀 원자의 복사선이 518조2958억3659만864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그렇다면 주파수가 높을수록 정밀한 시계가 되는 것일까. 이 책임연구원은 “그렇게 말하기는 어렵다”며 “시계의 특성상 항상 안정적인 주파수를 ... ...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향후 날아갈 경로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항로 주변에 보이는 별에서 나온 복사선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지구까지 오면서 어떤 물질의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분석 결과 보이저 1호의 항로에는 1~2개의 성간구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호의 항로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성간구름이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전자 빔을 금박에 통과시켜서 고에너지 광자를 만들고 이를 텅 빈 공간(공동)에서 흑체 복사선(광자)과 충돌시켜 전자-양전자 쌍을 만든다. 연구팀에 따르면 1GeV의 전자 빔을 사용하고 공동의 온도가 100eV면 수십 개 이상의 전자-양전자 쌍을 만들 수 있다. 만약 이 실험이 성공하면 가장 단순한 형태로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복사선이 나오지 않는다. ● 전자가 궤적 하나에서 다른 궤적으로 갑자기 옮겨갈 때 복사선이 방출되거나 흡수된다. 이것이 바로 빛띠의 검은 흡수선에 해당한다. ● 이런 가정은 발머의 공식을 비롯해 빛띠에 대한 여러 법칙에서 증명할 수 있다. ● 이는 모든 원자에 적용될 것이다.이렇게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