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변성"(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파동의 분포가 달라졌다. 즉,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이 바뀜에 따라 현재 우주의 규모 불변성에도 관측 가능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전까지는 초 플랑크 영역의 물리학이 현재 우주에 영향을 주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관측으로 얻은 은하 분포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해 초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수학과 교수로 위상수학을 연구하는 순수 수학자였다. 위상수학은 도형이나 공간의 불변성(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다.“수학자로 연구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오랫동안 생각해 왔어요. 그러다가 생각한 것이 바로 데이터였어요. 미 연방부에서 1000만 달러(약 114억 원)를 ...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없는지 다룬 내용이다. 파스칼의 ‘신비의 육각형’ 정리를 다른 도형에 적용해 불변성과 규칙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기 좋다. 다만 좀더 다양한 다각형을 정밀하게 조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해서도 사영 변환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실제 ...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교수는 15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라스펠트의 예상과 40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변형불변성 문제도 증명했다. 올해 들어 국가 과학자로 선정됐다. 이러한 공로로 2006 ICM 초청강연자로 초대받았다. K3곡면에 관한 연구로 세계 수학계의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실은 금종해 고등과학원 교수, 모듈라이 ...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교수스미르노프 교수님은 삼각격자 위에서 침투이론을 설명하는 카이 공식과 등각 불변성을 증명하셨어. 침투이론은 모래 위에 빗물이 스며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야. 또다른 업적은 2차원 이징모형의 증명인데, 이징모형은 격자점 위에 원자가 있을 때 서로 어떻게 작용하고 에너지가 ... ...
- 2014년, 대한민국에서 국제수학자대회를 엽시다!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아이다 목 교수님과 함께 무려 9년 동안 연구한 결과였어. 이름조차 어려운 변형불변성 문제는 대칭인 공간이 갑자기 다른 공간으로 바뀔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단다. 이 문제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아 황 교수님은 국제수학자대회에서 강연을 하셨지. 강연 당시 많은 수학자들이 그의 증명에 ...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과학동아 l2008년 02호
- 금으로 만들어진 유물이 몇 천 년이 지난 오늘날 원형 그대로 발굴되는 이유도 금의 불변성 덕분이다.금의 고귀함을 드러내는 ‘금색’은 사실 금의 고유 색이 아니다. 금속은 원래 고유 색이 없다. 금이 노란색을 띄는 이유는 여러 파장의 빛이 섞인 백색광에서 노란 색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지금도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이 대표적 예다. 지문에 유일성과 불변성이라는 특성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유전학자들은 지문에서 개개인의 유전적 생체구조 특징이나 성격을 읽으며, 의사들은 지문을 통해 지방설사나 심한 습진, 또는 다운증후군 같은 선천성 호르몬 이상을 ...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무생물인 다른 자연물과 확연히 구별되는 생물의 특징인 합목적성, 자율적 형태발생, 불변성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장은 생명현상에 대한 설명에서 역사적으로 되풀이되고 있는 생기(生氣)론과 물활(物活)론에 기초한 형이상학적 생명론에 대해서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다.3장부터 5장까지는 ...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과학동아 l1998년 12호
- 변화시킨다. 이것을 작용점 보정(vertex correction)이라 한다. 이 무한대는 소위 게이지 불변성이라는 대칭성에 의해 다른 세가지의 무한대들과 서로 연결된 것임을 보일 수 있다. 이로써 양자전기역학의 모든 무한대는 단 2개의 물리량, 즉 ‘전하’와 ‘질량’의 재규격화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