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사로
언덕길
언덕
동산
비탈
램프
등
d라이브러리
"
비탈길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14계단에서 훌쩍 뛰어내리곤 했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산, 공사장 등 동네 곳곳에 있는
비탈길
을 다 타고 다니며 성취감을 느끼기도 했어요. 중학생 땐 전교 부회장을 할만큼 활동적이었어요. Q.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혹시 이때부터 수학자를 꿈꾸셨나요? A. 아뇨. 대학에 가서부터예요.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빙글빙글 돌다가 이새가 어딘가 세게 부딪치면서 눈앞이 새까매졌다. “으으으~.”
비탈길
에서 굴러떨어지다가 나무에 부딪힌 게 분명했다. 오른쪽 다리와 왼쪽 팔이 끔찍하게 아팠다.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비명이 터져 나왔다. 이새는 그 와중에도 노래의 주인공을 생각하며 이를 악물고 신음을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모습으로 표현되곤 해요. 하지만 공룡도 코끼리처럼 진흙 목욕을 즐기거나 염소처럼
비탈길
에서 풀을 뜯었을 수도 있지요.” 고생물 그림 작가로도 활동하는 박진영 연구원은 참가자들과 함께 공룡을 그려 보는 시간도 가졌어요. 참가자들의 상상이 더해져 색다른 공룡이 탄생했답니다. 박진영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본 장식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답니다. 산 위에서 사는 사람들 차가 구불거리는 산
비탈길
을 오르자 대원은 모두 멀미를 호소했습니다. 그래도 올라간 보람이 있었죠. 태국과 미얀마, 캄보디아가 만나는 산 도이 퉁은 지금까지 본 어떤 산보다도 활기찼습니다. 이곳은 30년 전만 해도 살기 힘든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거대한 국가 통제시스템으로 나아가는 시작점이 될 거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미끄러운
비탈길
(slippery slope)’ 문제라고 하는데요. 마치 한번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저 아래까지 쭉 미끄러지듯이, DNA로 표현형을 추정하는 연구가 법과학에서 시작되면, 언젠가는 일상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하는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제공했어요. 쪽방촌은 좁은 지역에 집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지역이에요. 대부분 높은
비탈길
에 있고, 건물 사이의 길이 좁고 복잡해 사고가 날 경우 소방차나 구급차가 접근하기 어렵지요.하지만 이제는 정밀지도 덕분에 소방차나 구급차의 진입로 뿐만 아니라, 보수가 필요한 부서진 가로등이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안에는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들어 있어요.
비탈길
에서 구슬이 굴러 내려갈 때
비탈길
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빨리 내려가지요? 비탈의 기울기가 달라지면 구슬이 아래 방향으로 받는 중력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기울기 센서는 이와 마찬가지로 센서가 기울어질 때 센서가 받는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km으로 약 5km를 걸어갈 수 있다. 곤충을 모방한 이유는 다리가 여섯 개라 네발동물에 비해
비탈길
이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 ...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가 있다? 없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비탈길
을 거꾸로 오르는 공이 있다면 믿어지나요? 지난 5월 10일 미국에서 열린 ‘2010 세계 최고 착시현상 콘테스트’에서 일본 메이지 연구소의 코키치 수지하라 교수는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 조형물을 선보여 1위를 차지했습니다.이 조형물은 공이 사방의 경사로를 따라 자석에 이끌리듯 거꾸로 ... ...
새의 날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날개가 날기 위해서가 아니라 빨리 달리거나
비탈길
을 잘 올라가기 위해 처음 사용됐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 1월 17일자에 보도됐다.미국 몬타나주립대의 생태학자인 케네스 다이얼은 새의 조상인 공룡이 두 발로 걷다가 경사진 길을 빠르게 오르기 위해 앞날개 깃털을 처음 사용했고,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