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줄기"(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아파트 화단이나 공원에서 보라색, 노란색이 섞여 있는 동글동글한 꽃을 본 적 있나요? 바로 삼색제비꽃이에요. 우리 주변의 다양한 동식물을 탐사하는 지구사랑탐사대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제비꽃 현장 교육을 이끌었던 성신여자대학교 식물분자계통학실 문현지 연구원을 만나고 왔습니다. 탐사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기원후 79년,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연안의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했다. 화려한 문화를 자랑하던 고대 로마의 도시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은 화산이 뿜어낸 잿더미에 뒤덮였다. 그로부터 2000년이 지난 2023년 10월 12일, 헤르쿨라네움의 잿더미에서 발견된 고대 파피루스 속 글자가 다시 세상에 모습을 ... ...
- 잎꾼개미 후투티와 함꼐 한 탐사줄다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0월 8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과 가족 62명이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에 모였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 연구원들과 함께 생태원을 탐사하기 위해서였죠. 1박 2일 동안 동식물은 물론, 곤충과 조류까지 관찰하고 온 대원들의 생생한 생태 탐사기, 지금 시 ... ...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2012년,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교 고고학과 연구팀은 아마존강의 ‘진짜’ 수원을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났어. GPS를 장착한 카약을 타고 아마존의 숨겨진 작은 지류를 항해한 끝에 산등성이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찾았지. 그가 찾은 수원은 어디일까? 숨겨진 지류의 끝을 향해 아마존강에는 ... ...
- [과학용어] 수성/협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푸푸, 생일 축하해! 생일이 더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는 푸푸를 위해 수성으로 갔어. 수성은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 주기가 가장 짧은 행성이야. 그래서 1년도 가장 짧고 생일이 자주 돌아오거든! 수성(水星, Mercury) 태양계 행성 중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은 무엇일까요? 바로 수성입니다. 수성은 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의학계는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건강한 조직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최소침습수술’을 지향한다. 몸속에서 의료용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배양 접시에 키운 뇌세포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해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학습시켰다.” 사이버펑크 SF소설의 도입부가 아니다. 2022년 12월, 국제학술지 ‘뉴런’에 실제로 발표된 연구다. 과학자들은 어떻게 뇌세포에게 게임을 학습시켰을까. “저희가 한 일은 뇌세포가 ‘퐁(Pong)’이라는 게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핍은 화성에 한 평 남짓한 땅을 가지고 있었다.핍의 아버지는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화성의 올림푸스 산 정상에 올랐다. 아버지가 살 수 있는 땅은 정상에서 열 걸음 정도 떨어진, 한 사람이 간신히 누울 만한 곳이 전부였다. 그게 어디랴. 이 우주에는 자기 땅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 대다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 인간의 몸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세포로 구성돼 있습니다. 30~60조 개 가량의 세포는 엄청난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모양, 기능을 갖고 있죠. 여기서 궁금증, 여러분도 잘 알다시피 우리는 정자와 난자가 합쳐진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만들어졌습니다. 하나의 세포가 둘로, 넷으로 그리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정자와 난자가 만나 만들어진 포유류 수정란은 연속적인 난할(수정란의 분할)을 통해 여러 개의 세포로 나뉘어 ‘배반포(blastocyst)’를 만듭니다. 배반포는 태아가 될 부분인 배아줄기세포와 태반이 될 영양막줄기세포로 이뤄져 있습니다. 성숙된 배반포가 엄마 자궁에 착상한 뒤 배아로서 잘 자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