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맹아
새싹
싹눈
싹
d라이브러리
"
새순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세포가 굳어 만들어진 것으로, 털이 새롭게 나는 쪽을 계속 덮으며 자라난다. 대나무의
새순
인 ‘죽순’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죽순의 껍질은 가장 나중에 자란 껍질이 한 겹씩 포개지며 자란다. 큐티클도 죽순처럼 오래된 큐티클 위에 새로운 큐티클이 덮이며 두꺼워진다. 연구 결과, 음모는 ... ...
[최신 이슈] 우리 집 외동 식물 산세베리아, 반려식물병원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때문이다. 기자의 질문에 주 원장이 웃으며 대답했다. “식물은 회복이 원래 안 돼요.
새순
이 돋아나며 계속해서 살아가는 거죠.” 두 번째 선인장은 과거 접목(접붙이기)을 한 적이 있었다. 접목은 줄기 혹은 뿌리에 서로 다른 식물 개체를 접착시켜 새로운 식물체로 가꾸는 방식이다. 새로 자란 ... ...
[특집]나는 어떤 가드너?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바싹 말랐을 때 물을 흠뻑 주면 잘 큰다. 색이 변하거나 상한 잎은 과감히 떼어내면 금세
새순
이 돋는다. 수 m로 자라 정원수로 쓰이기도 하지만, 성장이 느려서 가지치기만 종종 해주면 실내에서 기르기에도 적합하다. 수련 │독특한 식물을 키워 보길 꿈꾸는 당신은 겁없고 도전적인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식물은 번식, 증식을 통한 ‘순환’이 기본 원리예요. 생을 다한 잎을 제거해 줘야만
새순
이 나는 것과 같은 이치죠.”식물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되 항상 봐야 한다”라며 “흙을 만져보고 메말라 있을 때마다 물을 주고, 잎사귀를 한 번씩 들쳐 보고 진딧물이나 벌레가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갯끈풀은 씨앗에 의해 새로운 개체가 자라기도 하지만, 뿌리 중간에
새순
이 돋아나고 그
새순
이 하나의 개체로 자란다”며 “갯끈풀은 뿌리 하나에서 돋아나는 개체 수가 갈대보다 훨씬 많아서 번식력이 엄청나다”고 설명했다.실제로 국내에서 갯끈풀은 갯벌 생태계를 파괴하는 유해 해양식물로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하는 ‘조직 배양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손쉽게 바나나를 복제할 수 있게 됐어요.
새순
이 자라 나오는 생장점 부분을 잘라 실험실에서 키우는 거예요. 이것이 작은 묘목으로 자라면 밭에 심어 큰 바나나 풀로 키운답니다.그런데 이렇게 복제된 농장의 바나나들은 야생 바나나에 비해 유전자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탈출은 8월 상순까지 계속된다. 이들은 건강한 소나무에 착지해 나무에 상처를 내면서
새순
을 갉아 먹고, 소나무재선충은 이때 새로운 소나무에 침입한다.[가을에 감염된 소나무는 이듬해에 고사한다. 지난 3월 11일 찾은 경기 광주 곤지암읍 근방 야산의 모습. 1차 방제를 하는 동안 말라 죽은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2월인데 벌써
새순
이 돋는 걸까요? 마치 식물의 잎처럼 생긴 이 생물은 사실은 바다 민달팽이(Elysa Chlorotica)예요. 해초 사이에서 숨어서 해조류를 갉아 먹고 사는데, 색이 주변과 똑같기 때문에 천적이 이 바다 민달팽이를 찾기 매우 어려워요. 우리 눈에는 보석처럼 예쁜 초록색이 아주 훌륭한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포유류가 꼭 먹어야 하는 영양소예요. 관찰 결과 판다가 주로 먹는 대나무와 화살대나무
새순
에는 질소와 인이 풍부하지만 칼슘이 무척 적었어요. 그래서 판다는 6월 중순이 되면 칼슘이 풍부한 화살대나무의 이파리도 먹었답니다. 특히 임신한 암컷 판다는 항상 칼슘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 ...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게 되고 말이야. 우리 주변의 나무들은 벌써 더워서 헉헉 대고 있을지도 몰라. 나무에
새순
이 돋는 4월! 우리 주변의 숲과 나무에 관심을 갖고 달라진 점이 없는지 관찰해 보는 게 어떨까? 친구들과 함께 나무도 한 그루 심어 보고 말이야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