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습지
늪
늪지대
습원
황무지
황야
d라이브러리
"
소택지
"(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네이처’는 하구의 가치가 일반 경작지의 250배에 이르며, 갯벌의 염습지나 열대의
소택지
와 같은 연안습지에 비해서 2.3배나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논문을 실었다. 이런 순수한 자연환경의 가치로 평가해 볼 때 새만금 해역이 주변 자연생태계에 베풀어주는 가치는 연간 약 1조1000억원에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지질시대로 2억8천만년 전부터 시작됐다. 페름기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에서는 육상의
소택지
(습지)에 1m에 이르는 원시 양치류를 비롯한 석송류, 유절류 등의 커다란 식물들이 숲을 이뤘다. 그리고 여기에는 다양한 곤충이 생활했다는 것이 화석상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특히 고사리류나 속새류 같은 ... ...
3 쥐라기 공룡, DNA 조작으로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이들은 공룡의 DNA 분리를 위해 8천만년 전 공룡의 뼈를 토탄층에서 찾아냈는데, 이는
소택지
의 진흙 속에 빠진 공룡이 산화로부터 차단되면서 토탄층이 되기 위한 고온 고압하에서 화석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었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수집된 뼈들의 내부조직은 일부 화석화되지 않은 부분이 남아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황새의 숫자가 줄고 번식력이 약화되는 이유는 그들의 삶의 터전인 호반 강하구
소택지
논과 밭 등의 습지대가 인간의 개발로 파괴되고 과다 농약사용으로 인해 먹이가 오염되는 등 생활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메모리(기억장치)로 개발했다. 미국 시라큐스대학 분자전자연구소 과학자들은 최근 짠물
소택지
에 살고 있는 '할로박테테룸 할로비움(Halobacterium halobium)'이라는 이름을 가진 세균의 BP라는 단백질에 레이저 광선을 쬐어주면 스위치처럼 켜졌다가 꺼지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밝혀 냈다. 켜졌을 때는 1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눈물짓게 한, 자작나무와 소나무가 어우러져 경치가 수려했던 이 지역 대부분이
소택지
로 변해버렸기 때문이다.이 개발에 있어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고에너지 물리학과 과학의 다른 분야에 있어서 투자의 상대적 이익에 관해 서구에서는 논의될 법한 것이 아무런 논쟁도 없이 결정되었다는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여름새이다. 전자는 대개 해발 8백~1천1백m까지 올라가 번식하나 후자는 해발 6백m 이하의
소택지
에서 번식한다. □긴점박이올빼미와 사할린올빼미 8백~1천8백m의 침활엽수 혼효림에서 사는 드문 올빼미들이다. 전자는 3월 하순에서 4월 초순에 한배에 3~4개, 후자는 5~6월에 한배에 4개의 알을 각기 ... ...
한민족이 말달리던 천혜의 대지 중국 동북부지방(만주)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우수리·송화·흑룡의 세강이 합류되는 일대는 표고 50m 이하의 낮은 평지와 습지
소택지
로 이뤄져 있다.요하는 한민족의 발상지로 지목되는 대흥안령산맥에서 발원하는 서요하(西遼·시랴오)와 장백산맥에서 발원하는 동요하(東遼河·뚱랴오)가 요녕성 동북부에서 합류하여 하류부에서 넓은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