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성
성취
실행
실천
수행
실시
구현
d라이브러리
"
실현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만화] 작아지는 달, 땅이 흔들린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니콜라스 슈머 교수는 “달 기지를 세우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실현
하려면 월진을 견디는 건물을 설계하는 등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R&D 예산 삭감 발표는 한국의 역사 안에서 과학기술 분야가 미끄러지게 만들었죠. 가치를
실현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체제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결과물을 내보이며 일을 하는 것이 익숙한 제가 국민들의 한 발짝 앞에서 그 역할을 하겠습니다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
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전독위 위원님들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하듯 매달 주요기사 투표 때는 두 기사가 엎치락 뒤치락 1위를 다툽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달랐습니다. 40%가 넘는 압도적인 비율로 1위 기사가 선정됐거든요. 그 주인공은 바로 뉴럴링크였습니다. 전독위분들이 뉴럴링크 기사를 뽑은 이유도 각양각색이었습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기술은 SF 소설에서 등장하는 상상 속 기술이었다. 하지만 그 상상 속 기술이 이제는 정말
실현
되고 있다. 따라서 BCI의 기술적, 과학적 현주소와 발전 방향을 대중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다. 사회적으로 합의된 틀 안에서 BCI 기술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BCI를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신입 사원 연령을 아슬아슬하게 넘어선 상황이었다. 그에 반해 스펙이라 불릴 만한 것은
실현
되지 않은 공상에 가까운 연구 노트 파일 하나가 전부였다. 예상 못한 것은 아니었다. 예산 감소가 우리 연구실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니까. 석사 과정 3개월 차에 연구실을 뛰쳐나와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상관관계를 이해한 남아공 정부 관계자들의 혜안이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실현
을 위해 노력한 남아공 과학기술자들에게 경의를 보냄은 물론이다. 한국 역시 세계적인 천문학자들의 협력에 함께하고 있다. 한국은 2021년부터 SKA 프로젝트의 국제기구인 ‘SKAO(Square Kilometer Array Observatory)’의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엔진의 성공과 직결돼 있다. SR-72가 하늘을 날면, 진정한 의미의 극초음속 비행이
실현
됐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필자소개임재한. 항공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졸업후드론의자동비행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공학자로 일했다. ...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추구한다. 사람들은 즐거움과 기쁨을 위해 노력했고 이런 노력은 의식주를 넘어 자아
실현
의 영역까지 아우르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했다.그랬던 도파민에 대한 시선이 최근 곱지 않다. 스마트폰으로 대두되는 기술의 발전으로 사람들이 쉽고, 빠른, 즉각적인 즐거움만을 쫓고 있기 때문이다. 안나 ... ...
[과학뉴스]우주 태양광 발전의 핵심 무선전력전송 1.8km 신기록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실시한다면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24시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우주 태양광 발전을
실현
하기 위해서는 발전소를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주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구로 전송하는 기술도 필수다. 이른바 ‘무선전력전송’이다. 최근 한국 연구진이 무선전력전송 최장거리 세계 기록을 깼다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늘리려는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력한다면 목표
실현
이 가능할까하는 기자의 질문엔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규모가 워낙 작아 3배를 확대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기후 악당 한국? ‘오늘의 화석상’ 수상집한국은 COP28 6일 차인 2023년 12월 6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