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포지엄
토론회
좌담회
담화회
연회
회의
담화
d라이브러리
"
심포지움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니, 그런데 지금 여긴 어디죠?기자 지금 저희는 에딘버러대에서 열리고 있는
심포지움
에 와 있습니다. 바로 어제 이곳에서 박사님에 대한 대중 강연이 열렸는데, 수많은 사람이 와서 자리를 꽉 채웠답니다. 또한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아 세계 곳곳에서 강연회, 학술대회, 시민참여 행사가 열리고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어나는 일이다. 지난해 4월 캐나다 산업보건연구소가 주최한 ‘교대근무와 건강영향’
심포지움
에 참석한 스웨덴 스톡홀름대 스트레스연구소 토뵈른 애커슈테트 교수는 작업 중 졸음에 빠지는 두 번째로 많은 요인으로 교대근무를 꼽았다. 수면부족도 문제다. 김인아 교수가 2004년 현대자동차,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대표적인 예가 비타민 C야. 서울대학교 의대 이왕재 교수팀은 올해 3월 ‘비타민 C 국제
심포지움
’에서 비타민 C가 독감을 막고 증상을 덜어 주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비타민 C를 만들지 못하게 처리한 쥐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넣었을 때는 모두 죽었는데, 비타민 C를 만들 수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특히 많다. 실제로 7월 23일부터 이틀간 NCSA에서 열린 ‘데이터 센터를 위한 국제
심포지움
’에서는 이들 업체들이 효율적인 데이터 센터를 짓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 중인지 알 수 있었다. 유체역학을 사용해 통풍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시설에서부터 오클라호마나 알래스카처럼 추운 지역을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1주일가량 회복훈련을 받은 뒤 5월 초 우리나라로 돌아온다. 그리고 ‘국제유인우주기술
심포지움
’에서 우주에서 벌였던 여러 가지 활동을 보고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에 뜬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국내 유일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지난 2월 8일로 가동 10돌을 맞았다. 1995년 차갑던 노심이 ‘마법의 불꽃’을 밝힌지 꼭 10년째를 맞은 것이다. 올해 ... 연구단은 오는 4월11일부터 13일까지 지난 10년간 하나로의 성공적인 운영과 이용을 기념하는 국제
심포지움
을 개최할 계획이다 ... ...
"경제발전, 다양한 생물 보전서 비롯"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연구와 교육 등이다."생물다양성은 지구 생태계 유지와 인류생존에 필수요소입니다.
심포지움
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계획안'은 청와대와 환경처 및 과기처에 제출될 예정이며 향후 대대적인 국민운동을 벌여 나갈 계획입니다. 오는 8월 경이면 총괄적인 보고서가 나올 것입니다."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80개 발견됐다.그렇다면 과연 아폴군 소행성들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어느 정도일까.
심포지움
에서 '소행성에 의한 인류절멸'이란 주제로 발제를 한 일본 국립천문대의 이소베 슈즈 박사는 "3천만년만에 한번 정도는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 "이는 단지 확률일 뿐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글들을 발표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 권위를 가진 미국 지구과학회에서도 특별
심포지움
을 개최하여 이 문제를 가지고 토의했을 정도로 과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가이아 이론의 구성여하간 가이아 이론이 과연 얼마나 타당성 있는 이야기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같은 결론에 도달했을 것이라고 부언 설명했다. 실제로 1989년 로스알라모스에서 개최된
심포지움
에서 이론물리학의 대가들이 모여서 초전도체 속 전자들을 액체라고 불렀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조순탁 박사 등은 액체론을 지지하고 있다.-결국 이론적인 오류의 결과로 오늘 날 초전도체 연구가 벽에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