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악역"(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SF 애니메이션 ‘마징가 Z’에는 오른쪽 몸이 여자, 왼쪽 몸이 남자인 기괴한 악역 ‘아수라 백작’이 등장한다. 만약 아수라 백작이 현실에 존재한다면 이런 모습일까. 최근 일본 미야자키현 종합박물관은 수컷과 암컷의 모습을 동시에 가진 살아있는 톱사슴벌레 사진을 공개했다. 반은 암컷 반은 ...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짚어봤다. ▲ 영화 ‘터미네이터: 다크페이트’에는 신경 로봇 ‘Rev-9’가 악역으로 등장한다. 관전 포인트 1 T-800은 늙었을까?영화 ‘터미네이터’는 2029년 미래에 인류를 지배하는 인공지능 스카이넷이 인류 저항군의 핵심 인물을 죽이기 위해 과거로 터미네이터를 보내고, 인류 저항군 역시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오렌지향 대신 레몬 향을 내는 독특한 캐릭터가 될 수도, 진통제가 독약이 되는 것처럼 악역이 되기도 한다. 현실과 닮았지만 모든 방향이 정반대인 거울나라에서 앨리스가 어떤 스릴 있는 모험을 하게 될지 기대해 보자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과정에 약 1만 년 정도의 시간이 걸렸으리라 보고 있답니다. ↑‘굿 다이노’의 악역 ‘버바’는 깃털이 달린 벨로시랩터 종이다. 깃털이 달려 있으면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어디서 살까? 포유류나 조류는 살아남아 신생대에 번성했지만, 사라진 공룡은 영원히 돌아오지 ...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유명하다. 다른 수학자가 발표할 때 작은 오류라도 발견하면 매섭게 지적하는 악역을 자처했기 때문이다.“강연이나 논문 중에 발견되는 실수는 제게 ‘오염 물질’처럼 보입니다. 저는 언제나 그걸 깨끗하게하려는 노력을 할 뿐입니다. 수학 문제 하나를 여러 방법으로 풀 수 있다고 합시다. 각각의 ...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과학동아 l2009년 05호
- ‘건강의 적’(?)으로 오해하는 지질은 드라마에서 악역을 맡은 배우와 닮은꼴이다. 악역배우가 없으면 드라마의 재미는 반감된다. 마찬가지로 지질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동맥경화 같은 병을 일으킬 수 있지만 몸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영양소다. 지질에는 지방, 인지질, 스테로이드가 있는데, ...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만든 정밀 기기들을 보물단지처럼 여기는데, 행성 보호관들은 이것들을 1백11℃에서 삶는 악역을 담당한다.핵융합 연구Fusion Researcher중세 사람들은 성당 하나를 몇대에 걸쳐 만들었다. 종교적 신념이 없었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과학계에선 핵융합 연구자들이 같은 일을 하고 있다. 50년 동안 ... ...
- 얼음과 소금으로 온도 내리기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얼음과 소금이 만나면 영하 10℃ 이하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냉장고 없이도 슬러시를 만들어볼 수 있다.얼음붙이기■ 왜 그럴까?!얼음과 소금이 섞이면 매 ... 쓰고 있다. 이 염화칼슘은 눈 녹은 물에 녹아 있다가 지나가는 차에 묻어 부식을 촉진시키는 악역을 하기도 한다 ... ...
- 얼음과 소금으로 만든 아이스바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얼음을 이용해 아이스바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이때 중요한 노하우는 소금을 이용한다는 점이다.왜그럴까?얼음과 소금을 섞으면 온도가 약-23℃까지 내려간다.온 ... 한다.하지만 염화칼슘은 눈 녹은 물에 녹아 있다가 지나가는 차에 묻어 부식을 촉진시키는 악역을 담당하기도 한다 ... ...
- 인조인간 로봇과학동아 l1998년 10호
- 로보캅이 나왔다. 터미네이터는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자 90년대 들어서 ‘액체 로봇’에 악역을 넘기고는 착한 로봇으로 탈바꿈했다. 아무리 냉혹하고 무자비한 로봇도 대중적 인기를 얻으면 인간적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은 문화사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다. 1920년대 ‘강제 노동’ 의미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