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얼룩점"(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해 12월 경복궁 서십자각 터 주변 담벼락에 커다란 스프레이 낙서가 생겼어요. 문화재보존가들이 빠르게 복구한 덕분에 담벼락은 다행히 8일 만에 원래 모습을 되찾았죠. 훼손된 문화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문화재 의사’ 이태종 문화재보존가를 1월 23일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만났습니다. ... ...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을 ‘무거운 입자’로 추정했다. 그런데 무거운 암흑물질이 실제 우주를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다르게 생각해봤다. 암흑물질이 굉장히 작고 가벼운 입자라면? 그제야 기존에 설명되지 않던 실제 우주 문제가 해결됐다. 그리고 최근 이 가벼운 암흑 ...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지난 줄거리지하 도시정부인 메디움 시티의 모든 공적 업무는 AI 시스템 ‘우나’가 담당한다. ‘선’은 이곳 지하 도시의 유일한 구태인(비사이보그인)이다. 최대 명절인 ‘조우의 날’, 선은 공립 도서관이 있는 중앙 광장에 가기 위해 1인용 캡슐 열차에 탄다. “선, 이제 곧 메디움 시티 중앙 ...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15년 1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완성한 역대 최고 해상도의 안드로메다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전체가 무려 15억 픽셀! 사진 속 영역의 규모는 약 4만 광년에 달한다. 한 장에 1억 개가 넘는 별, 수천 개의 성단이 담겼다. 별 하나하나가 구분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은 ...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기는 전 세계에 무려 110조 마리가 있는 걸로 추정돼. 인류의 계속된 노력에도 모기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지. 모기가 이렇게 끈질기게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뭘까? 환경, 온도는 거들 뿐! 번식력 최강자 모기는 지구에 언제 나타났을까요? 과학자들은 화석을 바탕으로 모기가 약 1억 7000 ... ...
-
- [과학사] 1878년 5월 14일 상처 치유부터 보습까지! 바세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입술이 건조할 때 바세린을 발라본 적 있나요? 1878년 5월 14일, 피부 보습제로 유명한 ‘바세린’이 처음 세상에 나왔습니다. 미국의 화학자인 로버트 어거스트 체스브로가 개발해 판매하기 시작했죠. 체스브로는 화석 연료인 석유가 발견되기 전까지 향유고래 기름을 연료로 정제하는 일을 하고 ...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지난 2022년 8월, 천문학자들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초기우주에서 예상 밖의 천체를 발견했다. 그것은 바로 UFO, ‘Ultra-red Flattened Objects(아주 시뻘건 납작한 천체)’였다. 기대한 UFO가 아니더라도 너무 실망하지 말길. 미확인 비행 물체인 UFO보다 이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찐’ UFO ...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예미산 지하 1000m에서 가장 완벽한 어둠을 만났다. 실험실로 이어진 터널에는 빛이란 게 없었다. 핸드폰 조명에 의지해 터널을 빠져나오자 높이 28m, 지름 20m의 거대한 공간이 펼쳐졌다. 숨이 턱 막혔다. 실험실보다는 고대 신을 숭배하기 위해 마련한 신전 같았다. 콘크리트벽에 아로새겨진 얼룩조차 ... ...
-
- [SF 소설] 목가와 숙녀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내가 진짜 여자가 아니라는 말은 진작 들었다. 그저 스스러운 이야기였다. 나의 엄마도 진짜 여자가 아니었지만 법적으로 여자로서 살아왔다. 엄마는 여느 여자들처럼 체세포로 난자를 만들어 아빠의 정자와 결합시켜 나를 낳았고, 국립 인공포궁시설에서 태어난 나를 신생아 양육소에서 받아와 ... ...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우리는 하천에 사는 민물고기의 이름을 잘 떠올리지 못합니다. 잉어, 붕어, 메기, 피라미, 쉬리…. 민물고기에 대한 지식이 빈약하다는 것이 탄로 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이런 무관심은 강을 다루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토목 공사로 강을 가로막고 민물고기의 쉼터인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