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
연관
인연
관계
소식통
본거
기반
d라이브러리
"
연줄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섭섭박사 메이커] 파란 하늘 위로 훨훨! 연 날리기 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0호
잡혀요.다음은 몸체와 물레를 연결할 차례예요. 몸체 뒷면에 붙어 있는 목줄과 물레의
연줄
끝에 달린 후크로 서로를 연결합니다. 물레는 연을 날린 후에 방향과 높이를 조절하는 방향타 역할을 해요. 따라서 목줄과 후크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연을 다 만들었다면 물감으로 연을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흥이 떨어졌다.생일 파티에 참석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일단 최윤혜와 장준형을 통한
연줄
이 있었다. 최윤혜는 파티에서 슈베르트의 ‘물 위에서 노래함’과 ‘음악에’를 부를 계획이었다. 최윤혜는 언니와 동행을 손님 리스트에 올렸고 피아니스트로 동료 한 명을 더 데려올 수 있었다. 최씨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위쪽 끝에 날카로운 철사를 달고, 아래쪽으로 연결된
연줄
끝에는 구리 열쇠를 달았다.
연줄
은 대마실로 만들어 비에 젖으면 전도성이 좋다. 열쇠의 끝은 비단실은 묶어 절연했다. 그리고는 비 오는 날 먹구름 가까이 연을 띄우고, 번개가 친 직후 손가락을 구리 열쇠 근처에 가져갔다. 그는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있대. 낚시를 처음 해도 1시간 동안에 50마리를 낚을 수 있을 정도로 물고기가 잘 잡힌대.
연줄
을 묶는 얼레에 낚싯줄을 묶어서 낚시를 하기 때문에어린이들도 쉽게 해 볼 수 있어.조개와 게를 잡자!사량도천문대 앞바다는 바로 부두가 있어서 깊은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부족한 공기를 즉시 채우기 때문에 연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 느슨하게 맨
연줄
과 얼레는 방패연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답니다. 팽이치기얼어붙은 논바닥에서 기우뚱 쓰러질 듯 하다가도 팽이채로‘휙~ 휙~’채찍질을 하면 다시 살아나는 팽이! 조선시대 문헌에는 ... ...
잃어버린… 아무도 모르계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홍석, 영훈, 경우, 혜선이 연을 날리고 있고,
연줄
이 서로 어지럽게 꼬여 있었다. 그 중
연줄
이 끊어진 사람의 연은 과연 누구의 연일까? 칠교놀이의 비밀썰렁 홈즈와 홍석은 끊어진 연주인의 집으로 달려갔다. 그곳의 주인은 무엇인가 곰곰이 생각하고 있었다.“이상해! 아침에 일어나 보니까 이런 ... ...
20세기를 바꾼 아인슈타인의 논문3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스위스연방특허국에 일자리를 얻었다. 친구인 수학자 마르셀 그로스만이 아버지의
연줄
을 동원했던 것이다. 그곳에서 3년간 아인슈타인은 조용한 사색을 통해 3개의 논문을 준비한 후 1905년에 발표했다. 그런데 이 3편의 논문이 세상을 흔들어 놓을 줄이야.특수상대성이론당시 물리학계는 몇가지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받아 비스듬히 올라간다. 이것은 바람을 받아 연을 미는 힘(D)과 연체의 중력(G), 그리고
연줄
을 당기는 힘(T)이 합해져 양력(L)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양력보다 중력이 크면 연은 날 수 없다. 또 연체가 누워 있으면 양력이 작용하지 못하므로 연은 떨어지고 만다. 그러므로 연체와 발마의 각도를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음이라 생각해 붙인 것이다. 그 유명한 연 실험에서 플랭클린은 연이 비구름 속에 들자
연줄
의 올이 곤두서면서 그 줄끝에 단 열쇠와 쥔 손가락 사이에서 번갯불이 튀는 것을 살폈고 번개와 전기가 한가지임을 실증했다.이제는 익히 알려진 사실인 바 물체를 문지를 때 양전하를 띤 핵둘레의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학생회관으로 무작정 들어가서 기웃거리던 나는 곧 지나가던 한국학생의 눈에 띄었고,
연줄
로 알게된 몇 사람의 도움을 받아 낯선 환경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잃었던 자신감을 되찾고학교공부는 정말 어려웠다. 매일 쏟아지는 과제와 읽을거리들로 인해 편안하게 잠자리에 든 날이 별로 없었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