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수리"(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할 말 있어요!] 사육곰 두 마리가 농장에서 탈출했다? 어린 사육곰이 세상을 떠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아종이 달라 우리나라 법상 보호 대상이 아니에요.게다가 우리나라 야생생물법에서는 ‘우수리종’이 아닌 모든 반달가슴곰을 기르고 죽여서 쓸개를 이용하는 것을 합법이라고 규정하고 있어요.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법에 야생동물을 잡아먹어도 된다는 조항을 둔 것은 화가 날 만한 일이에요.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가시가 있는 것도 특징이랍니다. 러시아, 중국, 한국에 분포하는 장수하늘소는 러시아의 우수리자연보호구역 일대가 대표적인 서식지예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에서 관찰되었지만, 최근에는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귀한 곤충이랍니다 ... ...
- 두루미 vs 백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정도로 커요. 500원짜리 동전에 새겨진 새가 바로 두루미랍니다.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우수리 지방에서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며 여름을 보내다가 겨울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와요. 바로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말이죠. 곡물이나 식물의 뿌리 같은 식물성 먹이도 먹지만 미꾸라지나 개구리같은 ... ...
- 발해인은 살아있다과학동아 l2006년 05호
- 동북아시아의 19세기를 기점으로 세상에 그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한 그들은 두만강, 우수리강, 비긴강, 송화강, 흑룡강 등 만주의 젖줄을 무대로 살아온 만주-퉁구스 계통으로 농경보다는 수렵과 어로가 주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그 가운데 고대국가 발해의 옛 터전에 당시의 발해인처럼 수렵과 ... ...
- 아프리카에서 겨울나는 붉은등때까치 국내 첫 발견과학동아 l2004년 11호
- 가면올빼미, 북방쇠개개비, 바위제비(가칭), 노랑머리지빠귀(가칭), 중국직박구리(가칭), 우수리쇠개개비(가칭) 등 국내 미기록종 조류 10종을 새로 관찰했다고 말했다 ...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과학동아 l2002년 10호
- 많이 분포하는 북부지방 사람에게 아주 유용하게 이용된다. 러시아 지방의 아무르 강, 우수리 강의 하류 유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인 나나이족은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배를 타고 연어와 송어를 잘 잡는 것으로 유명하다.이런 기술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무대로 살아가는 여진족에게도 그대로 ...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들어 국내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다.황새는 시베리아 극동지역의 아무르 계곡, 남쪽 우수리 지방, 만주 중앙부 및 극동지역, 한반도, 중국의 하북성 일본 등지에서 번식해 왔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과 6.25사변으로 인해 시베리아 연해주 남부의 시호테 알린 산맥의 산림과 중국의 동부지방 그리고 ... ...
- 산양과학동아 l1993년 02호
- 멀리 시베리아 동남부에서 만주를 거쳐 들어왔다. 19세기 말경에는 옛소련의 아무르와 우수리지방에도 널리 분포돼 있었으나 지금은 자취를 감추었다고 한다. 러시아 지방에는 현재 연해주지방의 시호테알린 동부 산맥에 한해 극소수가 잔존하고 있다. 특이한 성격산양은 모든 종이 사람의 눈에 ...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과학동아 l1990년 07호
- 낙동강 주남저수지 등에 일시 도래하며 번식처는 없다.■따오기/전세계에 20마리 미만우수리분지, 중국본토와 만주동부, 일본 사도섬에서 서식했다. 일본에서는 한때 모두 포획해 인공증식했으나 실패했고 최근 중국에서 수컷을 빌려다 합사했으나 이것마저 실패했다. 앞으로 일본은 암컷을 ...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모두 8백50종이나 있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으로 일본, 북으로 만주와 몽고를 거쳐 우수리까지 분포한다.우리나라에 자라는 진달래속은 11종이 있으나 가장 흔한 것은 진달래와 철쭉이며, 철쭉은 진달래가 진 다음 잎과 같이 핀다.진달래는 잎보다 먼저 연한 홍자색의 꽃이 피는데, 때때로 흰꽃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