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운문"(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발전 가능성이 있는 과학정보를 토대로 미래에 예상되는 과학적 세상을 그림 및 산문, 운문으로 표현하는 활동입니다. 이런 대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실현 불가능하고 무모한 그림과 글쓰기 보다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과학연구의 현황을 확인해 실현가능한 과학적 연구 결과에 자신의 상상력을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수학동아리 활동 결과물, 수학 소설, 수학 UCC 공모전, 교내 수학문화대회 수상작품(산문, 운문, 그리기), 예술제 전시회, 18개 학급의 재미난 앙케이트까지. 재미와 감성이 풍부한 작품을 수록한 수학문집, ‘영여로운 수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영여로운 수학’을 향한 첫걸음계획 세우기는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줄무늬가 있으면 독이 없는 우유뱀이다. 미국에서는 이 두 종류의 뱀을 구분하기 위한 운문도 존재한다. “Red touch black, venom lack, red touch yellow, kills a fellow(빨강과 검정이 만나면 독이 없고, 빨강과 노랑이 만나면 친구가 죽는다).”우유뱀과 앞서 소개한 비스마르크알락보아뱀, 부쉬벨드도마뱀처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때문이다.필자가 처음 돌강 연구 지역으로 삼은 곳은 태백산맥의 남부산지, 즉 운문산-가지산-간월산-신불산-취서산에 이르는 해발고도 1천여m 이상의 고산지였다. 산악인들에게는 ‘영남알프스’로 알려져 있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태백산맥이라고 하면 강원도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지리학적으로 ...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밀어를 나누고 있는 현장이 들킨 것이다. 2000년 7월, 경북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에 있는 운문호 옆의 작은 마을에서는 오랜만에 귀향한 몇사람과 동네 사람이 모여 세상사를 나누고 있었다. 누군가가 나란히 선 소나무 두그루가 가지를 내밀어 서로 꼭 붙잡고 있는 ‘이상한 나무’가 있다는 사실을 ...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더위속의 냉장고' 로 유명하다. 얼음골이 있는 천황산과 주위에 있는 가지산 도립공원, 운문산은 영남의 '알프스'라고 해 좋은 등산 코스로도 알려져 있다.그런데 어떻게 더운 여름에 얼음이 얼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이제까지의 대답은 '명확한 이유 몰라' 였다. 또 일부 학자들이 구장한 ... ...
- 한반도의 철기시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조건을 따라 장소를 옮기기도 했다(달천광산-녹동리 쇠부리가마터-두들못가의 쇠둑-운문산 솥계골의 무질부리가마터-전국 각지의 대장간). 좋은 숯을 구하기 위해서, 천연의 풀럭스를 찾기 위해서, 또 햇빛과 바람의 조건을 맛추기 위해서 좋은 장소를 찾아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론적으로 ...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것으로 생각되는데요.이대운 저는 아소산에서 채집한 안산암과 영남지방의 주사산 운문산에 있는 안산암을 비교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윤용웅 나가사키나 운젠을 탐사하면서 저는 마치 제주도에 와 있는 듯한 착각에 빠졌어요. 현무암이 풍화돼 생긴 규슈의 흙이 제주도 용암대지의 토양과 ...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과학동아 l1988년 08호
- 국내에서 알려진 반딧불은 7종(북방 반딧불이, 애반디불이, 반디불이, 파파리 반딧불이, 운문산 반딧불이, 꽃 반딧불이, 늦 반딧불이)에 불과하다. 반면 전 세계적으로 반딧불은 1천9백여종이나 발견됐다. 이는 아직 우리의 반딧불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과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