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공훈
업적
영웅적 행위
묘기
수훈
대성공
d라이브러리
"
위업
"(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씻기고 엉덩이를 말린 뒤 새 기저귀를 입히고 헌 기저귀를 깔끔하게 말아 놓은 그
위업
은 극한 상황에서 두 영웅이 보여 준 기적적인 능력 이외에는 다른 것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이후 아기는 울지 않았다. 대신 기어다니며 웃기 시작했다. 그 소리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둘은 아까보다는 ... ...
First Synthetic Life Form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생명체를 만드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기념비적인 실험이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이
위업
은 최고 수준의 과학자 20여명이 10년에 걸쳐 약 4000만 달러(한화 약 500억 원)의 연구비를 사용해 얻은 결과다. 그리고 한 연구자에 의하면 이것은 생물학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작성하는 순간이었다.이 실험을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2001년 2월 12일 우주탐사역사상 금성, 달, 화성, 목성 다음으로 다른 천체에 착륙하는
위업
이 성공적으로 달성됐다. 착륙 과정에서는 1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높은 해상도의 사진이 전송돼 향후 소행성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니어의 탐사과정에서 에로스에는 금, 은을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앉혔다는 짓궂은 견해다.어쨌거나 그녀가 바베지와 함께 최초의 프로그래밍이라는
위업
에 참여한 것은 분명하다. 그녀가 썼던 인터페이스는 일종의 천공카드(punch card)였다. 이 아이디어는 1801년에 자카드가 직조산업에 혁명을 불러일으키며 개발한 자동방직기로부터 시작된다. 마치 직물의 무늬를 ... ...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50km가 넘는 거리를 주파하면서 메르크스의 신화적인 사이클기록을 깨뜨렸다. 모서의
위업
뒤에는 자국의 디자이너 안토니오 델몽뜨가 고안한 신형 자전거가 있었다. 다름아닌 원반형 바퀴를 장착한 자전거. 원반형 바퀴는 기존의 바큇살 대신 얇고 단단한 원반으로 타이어를 지지하는 형태였다. ... ...
4. 수중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피핀이나 마욜 같은 사람들은 이러한 이론적인 한계를 간단히 뛰어 넘은 불가사의한
위업
을 이룩했다.피핀은 올해 5월 더 깊은 수중 1백52.3m까지 내려가 수중 포유류들을 무안케 했다. 그러나 이번 잠수는 수심 75m 지점에서 공기를 한 번 흡입한 기록이다.피핀은 잠수에 특출한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라 불리는 1905년의 3대논문(광양자가설, 브라운 운동이론, 특수상대성이론) 발표와 같은
위업
이 어떻게 가능했을까?아인슈타인보다 21세 젊은 오스트리아 태생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 볼프강 파우리가 말하기 시작해 널리 퍼진 "직장 일은 관심 밖이었고, 근무시간 중에도 물리 연구를 하고 있었다"는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나오는 중성미자를 사상 처음으로 발견했다. 4천2백ℓ나 되는 발광액체를 사용해
위업
을 이룬 것이다.중성미자가 발견된지도 벌써 35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중성미자의 정체는 여전히 베일 속에 가려 있다. 설상가상으로 데이비스 교수(R.Davis)에 의해 또 다른 수수께끼가 제기됐다. 태양에서 오는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파차쿠티황제는 잉카제국 역사상 가장 훌륭한
위업
을 이룩한 황제로 알려져 있다. 그는 주변국들과의 전쟁으로 황폐해진 수도 쿠스코를 훌륭히 재건했고 망코 카팍이 최초로 궁전을 세웠던 장소에 태양신전을 건립했다. 그곳에 선왕들의 미이라를 안치했다고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해서 6천만 한민족 밖의 존재일 수는 없다. 그들이 인류사회에서 이루었거나 이루고 있는
위업
은 그들의 어머니와 형제와 이웃의 일정한 희생위에 피는 꽃이다.이 점에서 볼 때 이 땅에서 배출된 한국 과학자들이 조국의 현실을 사람사는 세상에 맞게 얼마만큼 고치고 조국의 생산력을 발전시키는데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