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사"(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같이 놀던 친구들이 갑자기 너무 대단해 보이고 자신감은 뚝 떨어졌어요. 그 무렵 한 은사님께서 조언을 주셨어요. “지금은 너희가 학교라는 울타리에 모였지만, 곧 사방팔방으로 흩어질 거야. 100명이 100가지의 다른 길을 갈 거야. 그러니 옆 친구와 비교하지 말고, 진짜 좋아하는 걸 찾아. 혼날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그런 측면에서 보면 허 교수에게 은 인생 책, 히로나카 교수는 평생 은사인 셈입니다. 저는 2023년 가 독자 여러분께 허준이 교수님의 처럼 되길 바라며 개편 방향을 ‘사람 이야기’로 잡았습니다. 수학자는 물론 수학을 도구로 활용하는 여러 직업인의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세대에게 나눠주고 싶은 마음이 되게 컸어요. 당장 저도 제게 진정한 수학을 알려줬던 은사님 덕분에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된 것처럼, 저도 다음 세대에게 같은 즐거움과 행운의 기회를 나눠주고 싶어요. 그런 점에서 이승재 연구원이야말로 저의 수학 대중화 활동의 대표적 결실이라고 할 수 있지요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1852년 영국의 대학생이던 프랜시스 구드리가 지도를 관찰하다 처음 발견했고, 이를 은사이자 당대 저명한 수학자인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에게 물으면서 수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됐습니다. 100년 넘게 많은 수학자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졌고, 1976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두 교수 케네스 아펠과 ... ...
- [인터뷰] "남극이라는 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립니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실험실에서 살펴보니 새로운 모양의 미생물이었습니다. 국내 미생물학 원로이자 제 은사님인 하영칠 서울대 교수님의 성을 따 ‘하’, 미생물이 발견된 지역인 ‘제주’를 붙여 ‘하헬라 제주엔시스(Hahella chejuensis)’로 발표했어요.” 2007년에는 국내 최초로 여성 극지연구소장이 됐다. 아직 ... ...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게 참 어려운 일인데, 저는 인생에 중요한 순간에 롤 모델을 만났고 그분이 평생 저의 은사님이 돼 주셨다는 걸 생각하면 엄청난 행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수학 로그를 마무리하며 그렇게 박사 과정을 시작한 게 2012년이니, 벌써 9년 전이네요. 그 사이에도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저는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동료들에게 이 아이디어를 초고 형태로 공유합니다. 이후 헤스 교수의 이론은 1962년 그의 은사인 버딩턴 교수 헌정논문집에 ‘해양분지의 역사’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간됐습니다. 한편 같은 요지의 가설이 당시 미 해군 전자연구소의 해양학자 로버트 디에츠에 의해 1961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문이었다. 그걸 제일 잘 알고 있는 시투아는 영문도 모를 일로 자기를 부려먹는 은사에게 이 정도의 심술은 부려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인류 최초의 항성 간 우주선 바루나 호는 알큐비어 드라이브를 사용해 초광속 여행을 실현했고 최초로 다른 항성계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뎀베는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있는데, 이곳에서 인골이 출토된 것이다.“저를 고인류학이라는 불모의 세계로 초대했던 은사 이선복 교수(현 서울대박물관장)의 제안으로 참여하게 됐어요. 2014년부터 한 해 몇 번씩 드나들며 발굴을 하고 있죠. 제가 원래 하던 연구와는 조금 달라요. 몇 십만 년, 몇 백만 년 사이에 일어난 인류의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종명을 가진 생물은 대부분 김씨라는 성(Kim)에서 비롯된 거예요. 보통 배우자, 자식, 은사, 존경하는 과학자 등 애정을 표하고 싶은 상대의 이름을 많이 써요. 예를 들어 수장룡을 포함해 수십 종에 달하는 생물이 ‘attenborough’라는 단어가 들어간 학명을 갖고 있어요. 영국 BBC의 다큐멘터리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