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계"(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길이로 정했어요, ‘도레미파솔라시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음계가 우리에게 익숙한 ‘도레미파솔라시도’가 됐답니다. 용어 설명 옥타브★ 음계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한 옥타브 올라갈 때마다 소리의 진동수는 2배씩 높아지지요. 더 많이 진동할수록 더 높은 소리가 나요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번갈아가며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보고선, 이 순서가 마치 오선지 속에서 반복되는 음계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생각했어요. 이를 이용해 악보를 표현할 방법을 만든 거죠. 연구팀은 또한 쇼팽이 작곡한 등 기존의 유명한 클래식 음악들을 AI에게 입력해 기존의 유명한 곡들이 어떻게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에선 똥손도 예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음악을 만들 수 있어요. 처음에는 아무렇게나 그림을 그리게 되겠지만, 설정에서 박자와 음계를 조절하며 마음에 드는 음악을 만들어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Kandinsky’에서는 화가 칸딘스키처럼, 음악이 있는 그림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수 있어요. 즐겁게 놀면서도 음악에서 소리, 리듬, 화음 ... ...
- [똥손 수학체험실] 난…, 빨대로 노래하지♬ 팬플루트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해요. 마찬가지로 ‘미’는 ‘레’보다 짧은 의 길이여야 하지요. 피타고라스가 발견한 7음계의 비에 맞춰 빨대를 잘라 7음계 팬플루트를 만들어 볼까요?*용어정리관악기 : 입으로 바람을 불어 관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예요. 주기 : 어떤 물체가 움직였다가 다시 원래 위치로 ... ...
- [기획] 다누리 발사만 남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계이름을 우리말로 바꿨을 때 ‘다라마바사가나다’로 표현하는데, 첫 음계인 ‘다’처럼 최초의 달 탐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길 바라는 염원도 담았죠. 우리나라도 달 탐사에 성공해, 국민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기를 저도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따르는 이들은 2:3이라는 비율에 특히 매력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옥타브 사이의 다른 음계도 2:3 비율을 이용해 정했습니다. 솔과 진동수의 비가 2:3인 음의 진동수는 (=()2)입니다. 그런데 이 값은 낮은 도와 높은 도의 진동수 비인 2를 넘습니다. 옥타브는 반복되므로 이 음을 2로 나누면 한 옥타브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보와 이야기를 만든다. 음악도 상당히 유사하다. 한정된 ‘도레미파솔라시도’라는 음계를 조합해 무한에 가까운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내가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분석하게 된 이유다.뮤지션과 연구자라는 직업은 ‘그래서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어요’ 식의 해피엔딩이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음향화’ 기술을 이용해 음계를 부여했습니다. 그리고 음의 길이와 세기로 3차원 구조의 정보를 담았습니다. 이렇게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를 음악으로 표현하면 항체나 약물이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를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이 카드들은 ‘코딩카드’라 불러요. 지니봇으로 코딩카드를 찍으면 앞으로 가기, 음계 ‘도’를 연주하기 등 명령을 할 수 있지요. 이외에 코딩 프로그램이나 지니봇 전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도 코딩을 할 수 있어요.”독자 기자들이 지니봇 뒷면에 있는 전원 스위치를 누르자 “안녕,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간격을 결정하는 숫자로 정확한 음을 연주할 수 있는 비결이다. 만약 프렛이 없다면 음계를 찾기 무척 어려웠을 것이고 매번 일정한 연주를 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프렛은 머리 쪽에 있을수록 간격이 넓고 몸통 쪽에 가까울수록 간격이 좁아지는데 이 간격을 구할 때 17.817을 이용한다. 또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