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깃줄"(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다른 곳으로 불이 옮겨붙어, 산불이 점점 더 넓은 범위로 번지게 되는 거랍니다. Q전깃줄에 달린 빨간 공과 하얀 공은 무엇인가요?A발전소에서 만든 고압의 전기 에너지를 멀리 전달하기 위해 세워진 구조물인 송전탑은 보통 땅 위로 수십 미터 이상 높이 솟아 있어요. 그래서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존재가 인공구조물의 위험성을 알릴 수 있다고 믿는다. 광주를 보며 많은 이들이 조류가 전깃줄이나 방음벽, 유리창 같은 인공구조물에 충돌하는 사고를 줄이는 방법을 부디 고민해주길, 광주와 같은 동물이 더이상 생겨나지 않길 바랄 뿐이다. 먹이의 죽음이 독수리를 위협하다 독수리를 위협하는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전기는 대형 발전소 한 곳에서 전기를 생산한 뒤 멀리까지 배달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전깃줄로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이어야 하는데요, 이런 경우 전선 한 개가 끊어지면 그와 연결된 다른 전선 역시 도미노처럼 고장이 납니다. 때문에 작은 사고가 대형 정전사고로 번지죠. 그래서 몇몇 ... ...
-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럼 수업 시작! 만화로 과학자의 꿈을 키워보세요!‘번개 밴드’와 승객을 태운 기차가 전깃줄을 타고 이동해요. 이 그림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하려고 제가 그린 거지요. 제가 누구냐고요? 저는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에서 암세포 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기초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원은 지난 4월 가족 여행 때 있었던 일을 발표했어요. 자동차를 타고 창밖을 보다 전깃줄에 앉은 제비를 발견한 거예요. 가족들은 마치 첩보 영화를 찍듯 차를 몰아 제비를 쫓아갔지요. 오랜 사투 끝에 어느 집 문 앞에 있는 전등 위에 제비집을 발견했어요. 집 주인에게 양해를 구하고 성체 두 ...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마찬가지로 바람이 프로펠러를 돌리는 힘으로 전기를 만들지요. 땅까지 늘어뜨려진 전깃줄로 전기를 보낸답니다. 최근에는 배트를 약 300m 높이까지 띄워 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전문가들은 "300~600m 높이에서는 땅에서보다 바람이 8배 이상 세게 불어 전기를 만드는 데 효율적”이라고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한 곳에서 전기를 생산한 뒤, 수도권 등 전기 수요가 많은 먼 곳에 배달한다. 넓은 지역을 전깃줄로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연결해야 했다. 만약 송전선로 한 개가 나무 새 항공기 번개 등에 의해 끊어지면 순식간에 다른 회선으로 엄청난 전류가 우회해 흐른다. 설계 용량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음표처럼 앉아짹짹 호호호짹짹 하하하기분 좋은 노래를 불러 준다작품설명 | 골목 위의 전깃줄을 오선지, 참새들을 음표로 표현한 재밌는 시입니다. 2분 음표, 4분 음표, 8분 음표, 16분 음표 등 음표에는 수학의 배수와 분수 개념이 담겨 있습니다. 이처럼 수학이 없으면 음악은 불가능하다 말할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놀랍다.이런 일은 왜 일어났을까. 먼저 일종의 ‘압축’이 일어났다. 사람이 늘면 도로나 전깃줄 등 기반 시설을 좀 더 압축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벌집이나 개미굴도 개체 수가 두 배가 되면 약 20% 정도 압축이 일어난다. 두 번째는 복잡계 네트워크 특유의 증폭 현상이다. 도시 속의 ...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모멘텀센서 등이 휴보2 곳곳에 숨어 있는 이유다.과제4 넘어지지 말것2008년 3월 온몸에 전깃줄을 주렁주렁 매단 로봇 KHR-2가 드디어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기 시작했다. 3년간의 노력이 빛을 보는 순간이었다. 공식발표 순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달릴 수 있는 로봇은 분명 2009년 8월 개발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