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남"(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출발 지점의 시계와 비교해 경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태양이 정남에 있는데 출발 지점의 시계가 자정을 가리킨다면 그 위치는 경도지점에 해당한다. 우주선 자세 알아내는 별 추적기로 우주 쓰레기 탐지 위성은 약 2만 km 고도에서 운영되고 있어 이 고도 이하의 우주 ...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마음만 먹은 상태로 시간만 흘려보내고 있다”며 웃었다.그들은 이번 기사와 어울리는 과정남 에피소드도 소개해줬다. 2015년 3월 27일 ‘우리들은 새싹들이다!’와 2018년 12월 21일 ‘어떤 헌내기와의 대화’다. 같은 KAIST 학생을 입학생 때 한 번, 졸업을 앞뒀을 때 한 번 인터뷰한 에피소드다. 정 ...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종4품 호군이 됐다. 장영실은 자격루 외에 ‘앙부일구’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등 다양한 해시계도 개발했다. 정확한 시간을 찾다장영실의 물시계와 해시계는 시간을 전달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장영실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장영실의 관심은 정확한 시간을 ...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오목한 형태의 ‘앙부일구’가 가장 널리 쓰였고 그밖에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규표’ 등의 해시계도 제작됐다. 흐린 날이나 밤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자격루’ ‘옥루’와 같은 물시계 역시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다. 전세계 시간의 기준을 영국에 맞추다태양이 가장 ... ...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번째로 시도한 관측은 해가 지고 난 직후(혼시각)에 자오선(정북에서 머리 위를 거쳐서 정남으로 그은 큰 원) 상에서 빛나는 별, 즉 혼중성을 찾고 이것이 자오선에서 벗어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이번 관측에서 기준으로 삼은 혼시각은 오후 8시 2분이었고, 목표 천체는 쌍둥이자리 카스토르 ... ...
- 조선만의 하늘 갖겠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이런 세종의 지원 아래 1432~1438년 자격루, 흠경각루, 대간의, 소간의,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일정성시의, 규표 등을 발명했다. 그 중 앙부일구(1434년)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시계로 ‘앙부’는 ‘하늘을 바라보는 솥’을, ‘일구’는 ‘하늘의 그림자’를 뜻한다. 말 그대로 시간과 ... ...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과학동아 l2005년 04호
- 태양의 반대편에 있어서 햇빛의 간섭을 가장 적게 받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또, 밤 12시에 정남에 위치하므로 고도도 가장 높으며 가장 오랜 시간 밤하늘에 떠있다.행성은 충일 때 관측해야4월 4일은 목성이 충의 위치에 오는 날이다. 일년 중 가장 관측하기 좋은 때가 된 것이다. 올해의 목성은 황도 1 ... ...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과학동아 l2005년 03호
- 때문이다. 이는 달의 움직임을 느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네번째는 성식의 식심이 하늘의 정남, 즉 자오선 위치에서 일어나야 한다. 이런 조건일 때 가장 시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런 조건을 다 만족한다면 성식은 최대 1시간 54분간 일어날 수 있다. 안타레스가 달에 가린다3월 31일 새벽, ... ...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구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한 지점은 밤하늘의 한 지점과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 지구중심에 ... ...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삼아 시간을 측정한 일성정시의, 원과 막대 모양의 틀을 자유롭게 움직여 시간을 읽는 정남일구, 여름에는 앞면에서, 겨울에는 뒷면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현주일구도 세종 때 만들어진 해시계다.현재는 하루가 24시간이지만 조선시대 시계에는 하루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