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점"(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또한 과학 논문들엔 데이터를 해석한 이미지가 꼭 실린다. 이 시각화 이미지들의 기반과 정점을 ‘과학의 눈’에서 볼 수 있다. 우주 팽창의 증거를 최초로 제시한 허블의 선그래프, 지구 온난화 실태를 한눈에 보여준 줄무늬,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뇌 구조를 개별 뉴런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싶었어요.” KAIST 학생들은 한국에서도 손꼽히는 수재들 사이에서 공부하고, 커리어의 정점에 있는 교수진의 성취를 매일 같이 접합니다. 그들과 비교해서 자신이 잘하고 있는지 막연히 불안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겁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말을 걸기 위해’ 실패주간 내내 창의학습관 1층에서는 ... ...
- 인생 멘토 쏟아지는 IMO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진영범 : 초등생 때 좋아하는 과목이 하나도 없었어요. 그러다 수학을 좋아하게 됐고, 정점에 오르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는데, 그게 수학 국가대표라고 생각했습니다. Q. 대회를 한 달 앞둔 6월에는 거의 매일 8시간씩 집중교육을 받았어요. 이번 IMO에 큰 도움이 됐나요? 이지후 : 당연히요. IMO 출신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모든 정점의 차수 합은입니다.3. 이 경우 선의 수는 28/2 = 14입니다.그러나 홀수 개의 정점이 모두 짝수 차수를 가지려면 선의 수가 홀수여야 합니다. 이는 ‘악수 보조정리(Handshaking Lemma)’로 알려진 그래프 이론 결과입니다.4. 이 문제의 경우에는 선의 수가 짝수이므로, 7명의 사람이 각각 4번의 .. ...
- 통계로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자! 제25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줄었고,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2020년 6억 5,620만t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2018년 정점을 찍은 뒤 감소 추세를 보였던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3년 만에 다시 증가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시 오른 주요 요인은 코로나19로 멈췄던 산업 활동을 재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해요. 2021년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발표한 ‘세계 인구 전망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80년대에 약 104억 명으로 정점에 다다른다. 현재 가장 인구가 많은 대륙은 아시아지만, 앞으로는 아프리카가 치고 올라온다. 합계 출산율이 2명 이하로 낮아진 동아시아와 유럽 국가는 인구가 줄어들지만, 합계 출산율이 4.6명으로 ... ...
- [이달의 과학사] 1869년 12월 28일 추잉 껌에 관한 첫 특허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1956년에 처음 생산한 ‘해태 풍선껌’입니다. 국내 껌 시장은 갈수록 성장해 2015년에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요. 젤리나 카라멜 등 대체 간식이 늘어났으며, 마스크를 낀 채로는 껌을 씹기 불편하다는 등의 이유 때문이죠.●특허 : 정부가 물품이나 기술 등에 관한 소유권을 ... ...
- [5년 후, 과학은]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분야지만, 최근에 성장하는 주제는 아닙니다. 연도별 문헌 수를 보면 2014년에 4010건으로 정점을 찍었고, 그 이후부터는 계속 줄어들었습니다. 2020년에는 2680건의 논문이 나왔습니다. 위아래 층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아파트 소재로서의 그래핀 연구가 주춤한 사이, 기초과학으로서의 그래핀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더는 숨기지 않는 게 나을 것 같아서 하는 말이야.”인간의 의학은 21세기 중반에 정점을 찍었다. 노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질병에서 인류는 승리를 거뒀다. 인류는 한때 수많은 창작물에서 죽음을 암시하던 백혈병이나 암, 심장질환 등을 거의 극복했다. 하지만 그 극복은, 수많은 자원을 쏟아부어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① 3℃ 더워진 2050년, 문명이 붕괴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이산화탄소 중 절반 이상은 바다가 흡수했다. 바다가 없었다면 기후위기는 이미 20세기에 정점에 이르렀을 것이다. 사실 산호 껍질이 녹은 것은 약과다. 지금은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던 산호의 99%가 사라졌다. 수온과 바닷물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 탓이었다.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전 세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