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입
채택
수입
제주
제추
d라이브러리
"
제창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사] 1947년 6월 1일, 멸망까지 7분! ‘운명의 날 시계’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핵물리학자들은 핵전쟁의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운명의 날 시계’를
제창
했어요. 핵전쟁의 위협이 커질수록, 세계의 멸망이 가까워질수록 시계의 분침이 자정에 더 가까워지는 거예요. 소련이 원자폭탄보다 훨씬 위력이 강한 수소폭탄을 개발하던 1953년에는 분침이 자정 2분 전으로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일이 일어날까’를 물어보는 강한 우주 검열 가설과 관련된 연구를 했어요. 이 가설을
제창
한 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블랙홀이 조금만 바뀌어도 내부에서 굉장히 특이한 일이 일어날 거라고 말했답니다. 이런 상황을 수학적으로 ‘불안정하다’라고 표현하는데, 저는 전하를 띤 구형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있다”며 “한 번 더 영화를 보며 매 장면을 곱씹고 싶다”고 말했다.일반상대성 이론을
제창
한 아인슈타인은 말년에 전자기현상과 중력을 포괄하는 ‘통일장 이론’을 연구했으나 실패했다. 인터스텔라는 이 꿈을 이뤄줄 이론을 맛보기로 보여주고 있다. 쿠퍼가 블랙홀에 들어간 뒤 미지의 존재에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종말이란 게 의미 없는 소리일 것이다. 안드레이 린데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창
한 ‘영원한 인플레이션’ 이론은 인플레이션(우주 초기의 급격한 팽창)이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곳곳에서 계속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그 결과 우주가 주렁주렁 매달린 포도송이가 생겨난다.어디선가는 종말을 ... ...
Intro. 우주론의 역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크게 넓힌 우주론의 흐름을 살펴보자.BC. 4c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 중심의 우주론을
제창
하다. 우주는 영원불멸하다고 주장하다.BC. 3c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 중심 우주론을 주장한다.BC. 2c프톨레마이오스가 지구는 멈춰 있고 우주가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고 주장하다.154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흐름은 ‘DNA→RNA→단백질’의 방향으로만 진행된다(이것이 1956년 프란시스 크릭이
제창
한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 ‘센트럴 도그마’다. 이를 거꾸로 하는 ‘역전사 현상’은 1970년에야 발견됐다). 여기에 RNA가 DNA에 앞서 생명현상의 매개분자로 사용되었음(RNA World)을 전제한다면 역전사효소와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중력가속도 g만큼의 중력을 받는 경우를 물리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소위 등가원리를
제창
하고 있었다. 그는 중력과 가속도가 사실상 같다는 이 원리를 이용해 특수상대성이론을 일반상대성이론으로 확장하려는 중이었다.가속과 관계되는 질량은 관성질량이고 중력과 관계되는 질량은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드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생각만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세상 올까비달 교수가 처음
제창
했던 뇌파를 이용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얻을 수 있는 신경신호가 제한적이지만 뇌에 직접 전극을 꽂는 방법보다 훨씬 안전하기 때문이다. 중증마비 환자도 아닌데 컴퓨터 게임이나 무의식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레이저 핵융합 기술은 1960년대 레이저가 처음 발견된 이래로 1970년대에 들어서야
제창
됐다. 또 다른 핵융합 방식인 자기장을 이용한 토카막(Tokamak) 방식보다 역사가 20년 가량 짧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과 프랑스, 중국, 독일 등도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을 연구하고 있다. 인공태양을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람은 사고체계가 자연과학 위주로 완전히 바뀐다”고 말했다. 바로 박 연구원이
제창
하는 ‘대중의 과학화’의 한 예다. 박 연구원은 ‘과학의 대중화’를 거부한다.“지난 30년 동안 과학계는 미디어과 함께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힘썼어요. 좀 더 재밌는 과학, 좀 더 쉬운 과학. 그래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