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씨왕조
조선왕조
한양조
왕조
이씨
d라이브러리
"
조선조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학술정보원장 배현숙 교수가 서울대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규장각’에 게재한 ‘
조선조
사고의 장서관리’란 논문에 따르면 조선시대(1392~1910년)에는 사고에 보관된 실록을 말리는 포쇄를 311번 시행했다.조선 숙종 때 실학자 홍만선이 농업과 일상생활에 대해 다양한 사실을 기술한 백과사전 ... ...
'궁' 스튜디오, 컴퓨터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그래픽(CG)으로 경복궁의 기왓장 하나까지 모두 만들어냈다.현재 남아있는 경복궁은
조선조
말 고종황제가 거주할 때 크기의 15% 정도에 불과하다. 때문에 제작팀은 원형에 가까운 경복궁 영상을 만들기 위해 전각 200개를 CG로 복원했다. 이를 위해 드라마 촬영 전 3개월간 역사학자 4명과 함께 고증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고려의 자색염 기술은 멀리 중국까지 알려질 정도로 뛰어났다. 이런 고려의 염색기술은
조선조
에까지 내려와 청염장이나 홍염장 같은 색상별 전문 장인체계의 출현을 낳았다.음양오행과 결합한 색채관 우리겨레는 색에 대해 미적 숭고미보다 그 이상의 상징성에 의미를 뒀다. 이 때문에 전통색은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잡아 똬리를 틀어 질식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미나무를 목 졸라 죽이는 꼴이다.옛
조선조
의 선비들은 등나무의 이같은 특성을 대단히 못마땅해 했다. 중종 32년(1537) 홍문관 김광진 등이 올린 상소문에 ‘대체로 소인들은 등나무 덩굴과 같아서 반드시 다른 물건에 의지해야만 일어설 수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위에 상륙시켰으며,불덩이를 매단 연을 적의 성안으로 날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또
조선조
에는 세종대왕(1455년)때 남이 장군이 강화도에서 연을 즐겨 날렸다는 기록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통신수단으로 색과 문양을 달리한 다양한 암호용 연을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세워지거나, 도깨비불이 심한 마을에 화재뱅이(뱅이는 방어의 뜻)로 건립되기도 한다. 또
조선조
때에는 과거 급제를 기념하기 위하여 ‘급제 솟대’도 흔히 세워졌다. 한편 시베리아나 만주의 목우신상과 달리 한국의 장승에는 사모관대와 족두리가 표현돼 있다. 또 가슴에는 장승의 액막이 기능을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대상이 좋아하는 향기를 알아내 이를 사용하면 사랑을 쉽게 쟁취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조선조
사대부 가문의 여인들을 가장 기쁘게 한 선물은 사향이었다. 사향은 흔히 노루 배꼽이라고 불리는데, 번식기의 암컷 사향에서 방출되는 향은 수컷들을 자극해 힘겨루기를 유도한다. 첩들과 경쟁을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노력하고, 매화나 난초의 향을 맡을 것.제7도 - 임신 중에는 금욕할 것.한편 태교신기는
조선조
에 태어난 사주당 이씨의 걸작으로 동양에서는 물론 세계 최초로 태교에 관한 사항만을 집대성한 책이다. 사주당 이씨는 1739년 전주 이씨 가문에서 태어나 진주 유씨 가문에 출가해 1남3년를 낳았다. ... ...
① 한눈에 보는 한강의 다리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청계천 2가에 있었으나 1959년 청계천 복구공사 때 이 곳으로 이전해 복원한 것이다. 이는
조선조
초기 세종 때 만들어진 유서깊은 다리이다. 지금 다리 서쪽에 서 있는 수표석은 10척 높이의 장석을, 석수들에게 네모꼴로 다듬게 한 다음 그 석주에다 한척(당시의 한척은 21.78cm)마다 눈금을 새긴 다음 ... ...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확인할 수 있다.우리나라의 호랑이 출몰기록은 15세기 초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조선조
5백년간 매우 많았다. 이 때에는 한반도 전역에서 호랑이가 살았는데, 이 때문에 곳곳에서 호환이 잦아 1402년에는 남동부 경상도지역에서만 사상자가 1백여명에 이르기도 했다.남한에서 호랑이 공식기록은 192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