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충"(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좋아하게 만들고, 개미 뇌 조종하고 이것 말고도 기생충들은 기발한 일을 많이 한다. 새조충(Schistocephalus solidus)이 물 깊은 곳에 사는 가시고기에 들어가면 원래 찬물을 좋아하던 가시고기가 따뜻한 물을 좋아하게 돼 햇빛이 드는 수면으로 올라오는데, 그 결과는 수면 위를 날던 새한테 먹히는 ...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뒤, 엄기선 교수의 몸에선 3m에 달하는 기생충 2마리가 나왔고, 엄 교수는 여기에 ‘아시아조충’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눈에서 기생충이 꿈틀꿈틀 ( 서민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동물의 눈에 사는 기생충이 있다. 바로 ‘동양안충’! 이 기생충은 눈에 살며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2000년, 단국대학교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리고 돼지편충과 쥐조충이다. 돼지편충과 편충은 알이 담긴 액체를 마시는 형태로, 쥐조충은 유충이 담긴 액체를 마셔서 소화기관에 기생충들이 자라게 한다. 구충은 피부에 유충이 있는 붕대를 감으면 유충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소화기관으로 이동한다.2종 이상의 기생충을 조합해 치료에 ...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 촌충을 연구하던 중, 사람의 촌충 가운데 지난 1993년 엄 교수가 발견한 ‘아시아조충’과 형태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촌충이 바로 사자의 촌충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두 촌충이 유전적으로도 가까운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밖에 엄 교수팀은 소의 간흡충과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종으로 나뉜다. 민촌충(무구조충)과 갈고리촌충(유구조충), 그리고 아시아촌충(아시아조충)이다. 모두 사람과 동물에게 기생할 수 있는 식품 매개성 인수공통감염 기생충이다. 이 가운데 아시아 촌충은 비교적 최근에, 다른 나라도 아닌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정체를 밝힌 신생종이다. 정확히 20년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그리스 시대의 아르키메데스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원주율을 계산할 수 있었다. 조충지도 유휘의 방법을 발전시켜 원주율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휘의 책은 1000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수학을 대표하는 서적이었다.세키 코와(1642~1708년)세키 코와는 일본 수학사에서 단연 제 1의 ...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2호
- 기절할 정도라구. 우리들은 긴촌충(광절열두조충), 갈고리촌충(유구조충), 민촌충(무구조충) 등 생김새와 사는 형태에 따라 나눠져 있단다. 긴촌충은 충분히 익히지 않은 송어나 연어, 농어를 먹었을 때, 갈고리촌충은 돼지고기를 덜 익혀 먹었을 때, 민촌충은 소고기를 덜 익혀 먹으면 걸릴 수 있지. ... ...
- 사이언스 뱅크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07년 04호
- 엄 교수가 기생생물자원은행을 열게 된 데는 아시아조충의 역할이 컸다. 이름처럼 아시아조충이 아시아에만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하기 위해 오랫동안 세계 각국을 다니며 기생충을 연구하다 보니 자연스레 ‘은행장’을 맡을 수 있는 여건이 된 것이다. 현재 은행에 보관된 기생충은 7만5000점 ...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선충, 납작하며 빨판이 있는 것이 흡충, 마디마디 나눠진 것이 조충이다. 일반적으로 조충이 가장 길다. 말라리아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원충도 있다. 진드기처럼 몸 바깥에 기생하는 생물도 넓은 의미에서 기생충이다. 모두를 아울러 기생생물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과학동아 l1992년 10호
- 발전속도를 보일 수 있었던 원인은 소련의 적극적인 선진기술의 원조와 전학림, 이사광, 조충요 같은 뛰어난 과학자들의 잇따른 귀국이었다. 특히 소련의 기술원조는 대부분 국방관련 기술부문에 이루어져 이후 중국이 항공우주, 핵, 전자 등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그러나 5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