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론회
담화회
심포지엄
간담회
심포지움
연회
회담
d라이브러리
"
좌담회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열린 ‘이루다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
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AI’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루다는 수많은 대화 데이터를 이용해 단어와 문장을 학습했습니다. 그 결과 ‘넌 밥 먹었어?’ 같은 일상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잘 대답할 수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돌아오자 다시 밤안개가 피어올랐다.8월3일 오전 4박5일의 이번 탐사를 평가하는 짧은
좌담회
가 열렸다. 참가한 교사들 모두 한결같이 이번 탐사를 통해 익힌 내용을 학교에 돌아가 학생들에게 제대로 알려주고 싶다는 얘기를 했다. 히 비가 오락가락 하는 와중에도 짧은 일정 속에서 열정과 열의를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1년이 걸리더라도 멋있게 편집해 보겠습니다. 컬러프린터도 구하고요.※ 이어서
좌담회
는 모임결성의 시간으로 바뀌어 회장(전충진)과 총무(안동식)를 선출하고 향후 모임활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세웠다. 그러나 오전 9시가 돼도 인천에서는 배가 뜨지 않았다는 소식뿐이었다. 그래도
좌담회
는 일단 오전에 하기로 했다. 면사무소 회의실에서 2시간 동안 모두 진지한 표정으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먼저 조류에 대해 1시간동안 원교수와 질의응답식으로 탐사를 결산했고, 이어서 1시간동안 식물에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식사를 하면서 연구원 및 선원들과 아쉬운 작별을 나누었다.흔들리는 배 위에서 열린
좌담회
에서는 해양연구의 어려움과 학교교육에서 해양부분의 부실함 등이 주로 지적됐다. 육지에 발을 딛는 순간 "먼 항해 끝에 땅의 고마움을 안다"는 뱃사람들의 경구가 문득 떠올랐다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지구과학 현장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다음은 현장학습을 마치고 학생들이 가진
좌담회
를 학교신문에 기사로 게재했던 내용이다.지난 4월 22일 2학년 자연계 학생 희망자를 대상으로 경기도 포천군 전곡리에 다녀왔다.이번 현장학습을 계기로 삼아 앞으로 자주 이러한 기회를 갖자는 내용으로 몇몇 ... ...
걸프전 환경테러 후유증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아니다"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4개월 후 하버드 대학연구팀이 주관해서 벌인 전문가
좌담회
의 견해는 이보다 훨씬 비관적이었다. 조사에 참여했던 뉴욕대학 환경의학연구소의 조지 털스턴은 "대기오염이 사람을 죽이고 있다"고 까지 표현했다.털스턴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전쟁전에 비해 환경오염이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덧붙여 울릉도를 이해할 수 있게하는 시간이 됐다.곧이어 이번 탐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좌담회
가 열려 각자 그간 보고 느낀 것을 열띤 목소리로 토론했다. 매일 일과가 끝난 후에도 미리 읽어두었던 논문을 다시 뒤적이며 동료, 지도교수와 늦도록 토론을 벌이던 탐사단은 이날도 도동항에 새벽이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소개해서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과학동아'는 마훈카박사와 국내동식물학자들의
좌담회
를 통해 남북한 생태계 공동연구의 필요성과 그 전망을 가늠해 보았다.사회-최근 남북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과학기술 분야에도 양자간의 정보교환과 상호접촉이 시급히 전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내돌려져, 탐사대의 눈에 띄지 않은 것도 유감이었다.일정을 사실상 마감하는 '과학동아'
좌담회
도 이날 이뤄졌다. 좌담에 앞서 이교수는 이번에 새로 발견한 미기록종 15종을 발표했다. 각시고사리 조아제비 좀겨풀 참비비추 진황정 좀굴거리 당단풍 큰애기나리 붉은고로쇠 싸리냉이 진달래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