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체"(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놀이터에서 뭐 하고 놀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놀이터는 주차장 등 다른 시설로 대체되기도 해요. 지정우 소장은 “놀이터를 이용하는 주체인 어린이는 놀이터와 관련된 결정에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 놀이터의 우선순위가 밀리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최종 평가 이후의 연구 파급력을 확인하는 ‘추적 평가’가 덧붙기도 하죠. 연구 평가의 주체는 정부 부처의 공무원이나 평가 기관이 아닌, 다른 동료 연구자들입니다.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될 때 비슷한 분야의 다른 연구자들이 익명으로 논문 내용을 검증하는 ‘동료 평가(peer review)’가 이뤄지는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한다. 그리고 다수의 동일한 로봇이 있는 장소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책임을 질 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로봇에 번호판이나 색깔 등을 부여해 개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로봇과 AI 강소국인 한국은 이제 영화 속에서 봤던 로봇과 공존하는 미래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받고 있죠.그동안 많은 연구자는 슈퍼커패시터의 용량을 확대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의 주체인 전극을 신소재로 만드는 데 주력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전해질 성능 개선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해질은 전하를 띤 이온들의 이동 통로입니다. 전해질의 이온을 산화·환원이 가능한 이온으로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를 수행하기 위해선 인간의 감각이 필요하다. “결국 만들어진 식음료를 먹는 주체는 기계가 아닌 사람이잖아요.” 정 교수의 대답이다. 순수해서 가장 이상적인 단맛, 설탕 인간의 혀 표면에 나 있는 작은 돌기인 유두에는 미각을 느끼는 미각수용체 세포가 모여있다. 이 세포 표면의 ... ...
- [커리어] 2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시간을 확보한다고 말하더군요. 학교에서 실험에 몰두하기 위해, 자신만의 학습 일정을 주체적으로 운영한 거죠. 이 학생은 지금 서울대 기계공학과에 재학 중입니다. 한 학생만 말씀드렸지만 이렇게 우수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입학하고 또 이들의 대부분이 학교의 설립 취지에 맞게 이공계열로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간의 이익을 같은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모든 동물들마다 주체적인 삶을 존중해 인간과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요. 우리가 알아두어야 할 점은 ‘사람이 동물을 이용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과학적인 해답이 있는 게 아니라 철학적인 문제가 담겼다는 ...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전 챗GPT 시대에 사람이 지식을 많이 습득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질문하는 주체는 사람이잖아요. 구체적으로 여러 조건을 제시해 질문하면 챗GPT가 정확도가 높은 답변을 제시해요. 그러니 우리가 아는 게 많아야 좋은 질문을 할 수 있고, 챗GPT의 말에서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알 수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우주 개척 임무의 다양성에 비례해서 많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인간이 결정을 주도하는 주체로서 AI 개발이 이뤄졌고, AI가 결정의 주도권을 가지는 것은 제한적 조건에서 조금씩 등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우주 개발이 본격화되면 AI에게 결정권을 줘야만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통신 속도의 한계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정신과 원장이 되어 환자를 치료해봄 HELP ME!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야기(Who Am I : The Tale of Dorothy)’라는 게임을 소개한 적이 있어요. 다중인격(해리성 주체성 장애) 환자가 나오는 게임인데, 댓글이 2000개 넘게 달릴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죠. 이때 게임이라는 매체의 힘을 느꼈어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게임을 통해 정신과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