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문자"(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던지고, 그들의 답변만을 보고 기계인지 사람인지를 맞히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질문자의 30%를 속이면 튜링테스트를 통과한 AI로 인정받고 있지만, 기준이 모호하고 판정단을 ‘속여야’한다는 점에서 AI의 본질을 흐린다는 지적을 받기도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AI 챗봇 중 하나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챌린지로부터 날 지키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챌린지입니다. 2020년 한 유명 가수의 노래에 맞춰 사람들이 춤을 추던 아무노래 챌린지, 질문자가 온점(.)을 남기면 온점을 쓴 사람에 대한 평소 생각을 SNS에 남기는 알라 챌린지, 특정 카메라 필터를 씌우고 사진을 찍어 올리는 필터 챌린지 등을 예로 들 수 있어요. 디지털 시민들은 다양한 챌린지를 ... ...
- 위대한 질문 프로젝트 2020, 질문을 던지면 책이 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여러분이 보낸 질문 중 30개를 골라 화학자가 직접 답을 하고, 선정된 질문 옆에는 질문자의 이름이 쾅! 박힙니다. 여러분과 화학자의 ‘콜라보’가 기대되지 않나요? 참여 방법은요?QR코드를 스캔하면 구글 설문지로 연결됩니다. 평소 궁금했던, 하지만 쉽게 답을 찾을 수 없었던 질문들을 마구마구 ...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자 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에게 조언을 구했다. 독자 요청에 따라 질문자는 공개하지 않는다. Q 수학 문제를 풀 때 집중이 안 되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예전에는 수학과 관계가 나쁘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것 같아요. 친구들이 수학을 다 잘해서 괜히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머릿속에서나 나올 법한 소리였지만, 에반스 교수의 말마따나, 모르는 일이었다. 정말로 질문자의 정체가 다른 생태계의 생물학자라면, 그의 연구는 아마도 순조롭게 풀려나갔을 것이다. 그로부터 온 마지막 메일 내용이 인사치레가 아닌 진실을 담고 있다면. 어디에 사는 사람이든, 어떤 종이든,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명령문을 보고 한자를 옮겨 쓰거나 배열해 종이에 결과를 적는다. 결과를 구멍을 통해 질문자에게 전달하면 끝이다.질문하는 사람은 중국어로 질문하고 답변을 받았으므로 자연스럽게 대화했다는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를 전혀 못하기 때문에 자기가 무슨 일을 했는지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말이 되지 않는 통계가 나올 수 있었던 방법은? •표본이 왜곡됐기 때문. • 표본을 질문자가 의도적으로 왜곡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왜곡이 일어남. ex) 설문조사를 사람이 많이 지나간다는 지하철역의 입구에서만 진행한다면, 지하철을 타지 않는 사람들을 제외하게 된다. 또 ...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요나트 박사는 30분 남짓 진행된 질의응답을 마치고, 과학 꿈나무들과 기념 촬영을 했다. 질문자로 선정된 3명 학생은 같은 날 저녁 이스라엘 대사관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 초대돼 요나트 박사와의 만남을 기념했다 ...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과학동아 l2003년 05호
- 있다. 강연이 끝나고 한 할머니가 질문을 하자 그는 차근차근 자신의 논지를 이해시켰고, 질문자 역시 이에 뒤질세라 도킨스의 주장에 반박했다. 옥스퍼드대 교수와 에든버러 시골 할머니 사이에 ‘진화’에 대한 논쟁이 진행된 것이다. 영국민의 과학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볼 수 ...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각각 집어넣고 질문자가 무선 통신으로 인간과 컴퓨터와 대화하도록 돼있다. 이때 질문자가 어느쪽이 인간인지 어느쪽이 컴퓨터인지 가려내기 힘들 정도라면 '컴퓨터에 지능이 있다'고 판정한다는 것.J.R. 샬은 튜링테스트를 통해 AI의 가능성을 입증하려고 했던 사람들을 '강한 AI론자'로 이름붙였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