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종자"(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히틀러 딱정벌레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름을 바친다”고 밝혔지요. 그런데 2000년대 이후 이 딱정벌레 표본을 구입하려는 나치 추종자가 늘면서, 딱정벌레는 결국 멸종 위기에 처했어요. 밀렵꾼들은 슬로베니아의 동굴에 함정을 설치해 딱정벌레를 잡은 후 비싼 가격으로 팔곤 했죠. 독일의 바이에른 주립 동물학 센터에 보관되어 있던 ... ...
- [러셀탐구생활] 제 9장 어긋난 스승과 제자수학동아 l2023년 09호
- 21년에 출판됐습니다. 출판 당시에는 큰 반향을 일으키진 않았지만 시간이 흐르며 조금씩 추종자가 생겼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1924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결성된 수학자, 과학자, 철학자 모임이었습니다. 빈학파라고 불리게 된 이 모임의 구성원들은 두 가지 주장에서 그 뜻을 같이했습니다. 첫째,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낙하 실험을 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17세기, 갈릴레이를 반대했던 아리스토텔레스 추종자들은 무거운 물체가 가벼운 물체보다 먼저 떨어진다고 믿었다. 갈릴레이는 그들이 지나다니던 피사의 사탑에서 무게가 다른 두 공을 떨어뜨려 두 공이 거의 동시에 지면에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줬다. 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위해서는 도대체 얼마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할까요?)이 숲이 그 해답이에요. K박사와 그 추종자들… 기자님의 누님도 모두 이렇게 나무가 되어버린 거예요. 겉보기에는 나무지만 분석해보면 아마 경화된 단백질과 석화된 무기질로 나오겠죠.이제 제 탐색은 여기서 이걸로 끝이로군요. 저는 K박사의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한가운데에 가만히 놓여있기만 했던 그 동그란 기계는 순식간에 추종자들을 만들어냈고 추종자들은 기계의 쓰임새를 찾아냈다.마법사는 그들에게 수많은 작은 시계들을 만들어주었고 정확하고 공통된 시계를 공유하게 된 시카고의 군인들은 곧 주변 국가들의 전쟁에서 연달아 승리를 거두었다.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쉽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근거가 부족한 희망을 제시하고 사람들을 선동해 자신의 추종자로 만든다. 경쟁자가 될 만한 다른 구성원들을 지나치게 의심하면서 예민하게 반응한다. 결국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고 자신의 독단적인 망상을 집단에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좋게 말하면 카리스마적인 인물,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귀두 때문에 과민증이 일어난 것을 원인으로 생각하고 포경수술로 치료했다. 이 주장은 추종자들에 의해 널리 퍼졌고 의사들은 온갖 질병을 포경수술로 치료하려고 시도했다.또한, 세균학이 등장하면서 포피는 세균의 집합소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의사들은 질병 예방차원에서 포경수술을 권했고,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무진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자신의 복제품인 유나를 만들어 두었다. 그리고 무진의 추종자들은 유나를 총제의 자리에 올리기 위해 ‘양자투표’를 실시했다. 양자투표는 원하는 이에게 표를 행사하는 투표가 아니었다. 양자투표는 우리관찰자들이 원하는 현실의 총합이었다.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밝히기 위해 노력한 사람 중 한 명입니다. 처음에는 실험을 귀의 감각에 맡겼지만 그의 추종자들은 감각보다는 수(數)의 아름다움을 믿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우리가 인식하는 모든 것을 수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했죠.훗날 플라톤(Platon, ca. 429 ~347 BC)은 소리는 최종적으로 ‘간’에서 듣는다고 ...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맥그래스, 도미니크 페로, 크리스티앙 드 포잠박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수많은 추종자를 가진 석학들은 과연 과거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새로운 이론, 새로운 사상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이들은 과거에서 무엇을 가져왔을까. 인문학의 위기는 이미 죽은 학문이기 때문일까. 또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