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판물"(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1996년, 미국출판협회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한 시스템입니다. 출판물의 경우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고유번호 체계인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있어 체계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습니다. DOI는 디지털 콘텐츠에도 ISBN과 같은 번호를 만들자는 발상에서 시작됐습니다. 1998년 ...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2007년 이후 발급된 ISBN은 총 13개의 숫자로 이뤄졌습니다. 앞의 12개 숫자에는 그 출판물을 출간한 나라와 출판사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죠. 그런데 열세 번째 숫자는 특별한 정보 없이 앞의 12개 숫자에 수학적인 알고리듬을 더해 정합니다. 이 숫자를 ‘체크 숫자’라고 합니다.체크 숫자는 이렇게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의미가 깊다. 기계식 복사기로 삽화와 사진을 인쇄해 넣은 최초의 대량생산 출판물이기 때문이다. 다윈은 책의 곳곳에 그림을 넣어 글로 표현하기 힘든 표정이나 인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그 덕분에 생물학이나 진화학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일반인도 술술 읽을 수 있는 대중서가 탄생했다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제 본격적으로 타오가 풀었다는 콜라츠 추측에 대해 알아봅시다. 콜라츠 추측은 모든 자연수를 다음 두 조건을 따라 계산했을 때 결국 1이 된다는 추측입 ... 그러다 1972년 미국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칼럼을 포함한 6개의 출판물에 등장하며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 ...
- [미국유학일기]3일 밤샘 공부 가능한 스탠퍼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있을 뿐만 아니라 유명한 사진작가들의 사진집이나 굉장히 구하기 어려운 미술 관련 출판물도 구비해 놨다. 훼손의 위험이 있는 작품의 경우에는 사서에게 부탁해 특별한 방에 가서 장갑을 끼고 봐야 한다.친구들 중에는 공부하는 장소로 도서관을 고집하는 친구도 있는 반면, 방이나 기숙사 라운지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실력 양성의 핵심으로 새롭게 떠올랐다. 과학 대중강연을 비롯해 과학기사의 보도, 과학출판물의 발간, 그리고 과학전시회 개최 등 다양한 과학 활동이 펼쳐졌다. 특히 1922년에는 비행사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이 성대하게 열렸다. 1934년부터는 과학지식보급회 주도로 대중을 위한 과학행사가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10일가량 서로의 지역에 방문해 이에 적합한 건축 설계를 진행하고, 결과물을 전시회나 출판물을 통해 발표한다. [인재상] 건축 전문가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포용력서울대 건축학과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은 예술을 좋아하고, 인문학적 감수성과 수리적 능력을 갖춘 학생이다. 스펙트럼이 넓은 ... ...
- 돌아온 로보트 태권V(브이)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6호
- 만화영화보다는 훨씬 더 태권V를 실감나게 해 준다. ‘피규어’란 영화나 애니메이션, 출판물 속의 등장인물을 캐릭터 완구로 만든 것을 말한다. 1950년 후반 일본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단순한 인형과는 많이 달라 어른들에게까지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이번에 만들어진 태권V 피규어는 로봇 ... ...
- Smart D과학동아 l2005년 12호
- 영어권에서도 문제가 되었다.가장 극적인 경우는 fı의 경우였다. 예전에 영어로 된 종이 출판물을 보면 ‘diffıcult’ 같은 경우처럼 fi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i위에 있는 점을 생략한 형태의 fı로 찍혀 있었다. 활자체에서는 f와 i가 너무 바싹 붙어 있어서 점을 찍지 않는 편이 더 낫기 때문이다. ...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과학동아 l2003년 05호
- 교편을 잡으며 연구활동을 매우 활발히 전개했다. 하지만 그의 연구자금은 물론 출판물이 모두 가족의 생활비를 줄여가며 자비로 마련한 것이라 충분히 연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1893년에서 1896년 사이에 치올코프스키는 ‘지구와 우주에 관한 환상’이나 ‘다른 세계에 생명은 있는가’ 등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