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워포인트"(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엑셀 파일에 적힌 글자들이 ‘회의록 요약’ 버튼 하나에 1장으로 요약된다. 이것을 파워포인트 파일로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것도 생성 인공지능(AI)의 몫이다. 감마(Gamma) AI에 요약된 회의록을 입력하자 1분도 안 돼 세련된 PPT가 만들어졌다. 이제 창래 씨가 할 일은 생성 AI가 만든 자료를 꼼꼼히 ... ...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일일이 확인해야 했지요. 또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하면 불법이 될 수도 있었어요. 그래서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에 있는 도형을 조합해 저만의 아이콘을 만들었답니다. Q기억에 남는 점이 있다면?중간발표회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발표회에서 내 작품을 소개하며 다른 친구들의 작품도 보고, 서로 ...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누군가 말려줄 줄 알았는데, 그 말은 곧 현실이 됐습니다. 페임랩(FameLab)은 파워포인트 등 발표자료 없이 과학 연구에 대해 최대 3분 동안 설명하는 과학 소통 경연대회입니다. 2005년 영국 첼트넘 과학축제에서 처음 시작됐습니다. 페임랩의 한국 대회인 페임랩 코리아는 2014년 제1회 대회가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웹툰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지금도 반려동물, 공시생, 탈모 등을 다룬 노래를 작곡하고, 파워포인트로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유튜브에 업로드하고 있다.만화도 빼놓을 수 없다. 콘텐츠 제작에 흥미를 느끼게 된 것도 학창시절 연습장에 끄적인 만화가 친구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으면서였다. 이 ...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언젠가 꼭 일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는 생각을 버리지 않았다. 당시 막 사용되기 시작한 파워포인트, 포토샵 같은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배우고, 이후 신제품을 개발할 때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에 온라인 쇼핑몰의 기획과 마케팅 기법도 공부했다. 물론 8년 만의 정식 복귀는 적응부터 쉽지 않았다. ... ...
- [수학공부 꿀팁] 슈퍼히어로에게 배우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히어로 영화로 만든 수학 스토리이 교사는 칠판으로 수업하기보다는 미디어와 영상, 파워포인트를 활용해 수업하는 걸 좋아한다. 특히 수학처럼 판서가 많은 과목일수록 다른 매체를 많이 이용한다. 영화뿐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을 이용해 수업할 때도 있다.처음에는 초등 교사 자료 공유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내일까지 급하게 만들어야 하는 발표 자료가 있다. 허둥지둥 대며 컴퓨터를 켜고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열었는데, 내용은 둘째 치고 제목과 본문에 들어갈 글자체와 크기, 파일에 그림을 넣는 방법 등이 떠오르지 않아 ‘멘붕’에 빠져버렸다. 결국 파일을 절반도 완성하지도 못한 채 뜬눈으로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텍스트마이닝’에서도 써요. 인터넷에는 숫자로 된 정보도 있지만 한글, PDF, 파워포인트 같은 복합 문서나 블로그, SNS처럼 일정한 형식이 없는 정보가 더 많죠? 문서 형태에 관계없이 글로 된 모든 정보를 0과 1로 바꾼 뒤 유용한 정보만 뽑아내는 것이 텍스트마이닝 기술이에요. 빅 데이터 같은 ... ...
- 칼 세이건 능가할 과학커뮤니케이터 뽑는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대중에게 자신의 연구분야(또는 타인의 연구분야)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대회로, 파워포인트 없이 약간의 사물과 퍼포먼스만으로 3분 안에 청중을 이해시켜야 한다.11명의 결선 참가자 중 최우수상은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항암제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한 이상곤(27, 중앙대 약대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그걸 고민해야죠.”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를 찾았을 때, 조장희 소장(석좌교수)은 한창 파워포인트 자료를 정리하고 있었다. 그간의 연구 성과와 발표자료, 해외 연구동향 등이 일사불란하게 화면 뒤로 넘어갔다. 벽에는 두뇌 속을 찍은 MRI 영상 사진이 가득했다. 뇌과학연구소가 자랑하는, 세계 ... ...
123 다음